[석탄화학]

중국은 석탄화학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으나 아직 확고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 석탄화학산업은 저유가와 중국 정부의 환경규제 강화로 경쟁력 저하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미 완공된 플랜트들도 가동률을 높이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규투자를 철회하는 해외기업들도 등장하고 있다.
Shenhua 그룹은 2016년 CTL(Coal to Liquid) 400만톤을 상업가동할 계획이었으나 적자생산이 불가피해 200만톤만 가동하고 나머지 200만톤은 2020년까지 시황을 보고 상업화할 방침이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석탄 자원의 유효 활용이 산업 발전과 직결된 문제라고 판단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중국, 저유가·환경규제로 경쟁력 약화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공업정보화부는 2017년 봄 중국의 석탄화학산업이 CTL, CTO(Coal to Olefin) 등을 중심으로 성장했으나 아직 발전단계에 불과하며 경쟁력이 매우 취약하다고 진단하고 「석탄화학 발전지침」을 마련해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전체 산업규모 확대를 위해 신규기업의 진출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총량, 도시계획, 안전성, 친환경 및 에너지 절약 관련기준을 설정하고 이산화황, 질소화합물, VOCs(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배출 규제도 강하게 제시하고 있다.
CTO는 신규투자 프로젝트를 1계열 50만톤 이상으로 규제하고 석탄 환산으로 톤당 에너지 소비량을 2.8톤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MEG(Monoethylene Glycol) 플랜트는 1계열 20만톤 이상, 에너지 소비량은 2.4톤 이하로 정하고 있다.
석탄화학산업의 기술력 향상 뿐만 아니라 석탄 개발, 석유화학, 화학섬유 등 다른 산업과의 융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순환형 산업 체인을 구축함으로써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자세를 갖추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또 중국 정부가 구상하는 광역경제권 구상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에 따라 석탄화학 관련 기술, 인프라, 인재 등을 수출하고 석탄 자원국과 연계된 산업 체인을 강화할 것이라고 명기하고 있어 주목된다.
이에 따라 관련기업들이 자사의 기술과 노하우를 살려 해외진출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Shenhua 그룹은 제13차 5개년계획 동안 해외진출을 계획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인디아, 중동 등 석탄 자원이 풍부한 지역은 물론 저렴한 셰일가스(Shale Gas)를 이용하는 북미에서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Sinopec도 해외진출에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Sinopec은 2012년 9월 석탄화학 사업 투자 및 운영을 전담하는 Sinopec Great Wall Energy & Chemical을 설립하고 독자적인 MTO(Methanol to Olefin) 기술인 SMTO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CTL, 근본적 구조조정 시급
석탄화학은 국제유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던 때에는 유망산업으로 주목받았으나 2015년부터 저유가 기조가 장기화되며 기술력과 일정한 사업규모를 갖춘 생산기업만이 생존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Sinopec은 8-10년 장기전략을 구축하고 경쟁력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은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위해 석탄화학의 강화가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2015년 원유, 천연가스를 비롯해 에틸렌(Ethylene), 아로마틱(Aromatics), EG(Ethylene Glycol) 수입비중이 각각 60.8%, 31.5%, 50.4%, 55.9%, 66.9%에 달하는 등 아직 수입의존형 산업구조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석탄 자원이 풍부하며 석유화학제품 생산의 안전보장을 위해서라도 석탄화학을 강화함으로써 원료 다양화를 추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에너지 발전 제13차 5개년계획에서 2020년까지 CTL 생산능력을 1300만톤, 석탄가스화를 170억입방미터로 확대한다는 방침을 내세우는 등 석탄의 고효율 이용을 촉진하고 있다.
중국 석탄화학 생산능력은 2017년 3월 말 기준 CTL 845만톤, CTO 1290만톤, CTEG(Coal-to-Ethylene Glycol) 212만톤 정도로 추산된다.
CTO는 2020년까지 1800만톤으로 확대되고 올레핀 생산의 24%를 차지할 것으로 파악된다.
CTEG는 20-30개의 설비가 신규가동함으로써 생산능력이 600만톤으로 2016년 대비 34%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Shenhua 그룹이 2020년까지 석탄 6000만톤을 사용해 석유제품 700만톤, 폴리올레핀(Polyolefin) 300만톤, 올레핀 등을 원료로 사용하는 메탄올 360만톤을 제조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CTL은 완전 적자경영 상태이어서 서플라이 체인 확대 등 정부의 구조조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CTL은 석유제품과 동일한 소비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본격 육성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우대정책 도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020년 석탄 생산 39억톤으로…
중국이 대규모 석탄 신증설을 추진함에 따라 석탄화학의 경쟁력이 회복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제13차 5개년계획을 통해 2020년 석탄 소비량이 41억톤으로 2015년에 비해 3.5% 증가할 것으로 판단하고 생산량을 39억톤으로 4% 확대할 계획이다.
중국 석탄 시장은 소규모 탄광이 난립한 가운데 수요가 부진해 공급과잉이 심각한 상태이다.
하지만, 경제성장과 함께 에너지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석탄 소비량이 2000-2010년 약 2.5배 급증했으며 1차 에너지 소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5년 기준 60%에 달했다.
중국은 제12차 5개년계획을 실시하는 동안 생산기지의 규모화를 추진하며 7100곳의 소규모 탄광을 폐쇄하고 생산능력을 5억5000만톤 줄인 바 있다.
이에 따라 대규모 석탄기지의 생산비중이 93%까지 확대됐고 Shenhua, China Coal Energy 등 생산능력이 1억톤 이상인 곳도 9사로 늘어났다.
100만톤급 CTL 개발 프로젝트와 60만톤 상당의 CTO 상업화가 이루어지면서 석탄산업의 고도화가 어느 정도 진전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제13차 5개년계획 동안에는 생산성이 낮은 구식설비의 생산능력을 8억톤 줄이고 신규설비를 5억톤 도입할 예정이다.
또 생산능력 120만톤 이상의 대규모 탄광의 비율을 80% 이상으로 높이고 30만톤 이하 소규모 탄광은 10% 이하로 낮추는 것이 목표이다.
현재 소규모 탄광은 6500개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구조조정을 통해 전체탄광 수를 9700개에서 6000개 내외로 줄일 예정이다.
석탄기업은 대형기지에 집약시켜 생산비중을 95% 이상으로 높일 예정이며 전체 수를 3000사 이하로 줄여 5000만톤급 이상의 대기업 점유율을 60% 이상으로 높일 예정이다.
CBM(Coalbed Methane)은 2020년 생산량을 240억입방미터, 이용량은 160억입방미터로 확대할 방침이다.
석탄화학 등 고부가가치화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중국석유·화학공업연합회(CPCIF)는 중국의 자본분포, 석탄 소비구조, 화학제품의 수요 동향 등을 통해 석탄화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석탄화학 생산능력이 2020년경 모두 확대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석탄을 통한 합성가스 생산은 200억입방미터 이상, 석탄액화 1200만톤, CTO 및 MTO 1600만톤, 석탄을 통한 아로마틱 생산은 100만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주로 내몽골 자치구, 신장 위구르 지역, Shanxi, Ningxia 등 석탄화학기지를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CPCIF의 전망치를 바탕으로 2020년 석탄화학 생산비중이 동부가 1억7000만톤으로 전체의 4.4% 수준, 동북부 1억2000만톤으로 3.1%, 중부 13억톤으로 33.3%, 서부 23억1000톤으로 59.2%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부에서는 내몽골 자치구, Shanxi, 신장 위구르 등이 대폭 늘어나고 Guizhou, Yunnan, Gansusheng, Ningxia 등은 일정량 증가하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석탄가격 등락 심화가 문제
글로벌 석탄 가격은 2017년 연료탄이 톤당 60달러대, 원료탄은 150-200달러대로 2016년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석탄 가격은 2016년 여름부터 11월까지 중국 내수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국제가격이 상승세를 지속했으나 2017년에는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이 아시아 수출을 확대함에 따라 중국 가격이 하락해 국제가격도 약세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글로벌 석탄 가격은 중국의 공급과잉을 배경으로 2015년 연료탄, 원료탄 모두 100달러대가 붕괴됐으며 2016년 상반기까지 약세를 나타냈다.
2016년 초에는 연료탄이 40달러 후반에서 50달러, 원료탄은 70달러대를 형성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가격을 인상시키기 위해 2016년 봄부터 탄광 가동일수를 연간 330일에서 276일로 제한하는 감산조치를 실시했다.
이후 7월부터 중국 내수가격이 급등했고 국제가격은 2016년 7월 기준 연료탄이 60달러대, 원료탄은 130달러까지 회복됐다.
10월에는 중국이 재고 부족으로 수입을 확대하고 오스트레일리아가 홍수 피해를 입으며 세계적으로 수급이 타이트해져 연료탄이 100달러, 원료탄이 300달러를 돌파하기도 했다.
연료탄은 2017년 타이완 등에 원자력 발전 대체를 위한 석탄화력용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디아에서도 수요 신장이 기대되고 있다.
중국은 성수기에는 수요가 신장하지만 연간 수요는 2016년 수준을 다소 하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원료탄은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및 철강 공급과잉 등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국제가격은 연료탄 및 원료탄 모두 상반기에는 약세를 나타낼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다시 가격 인상 목적으로 감산조치를 실행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어 다시 상승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윤화 기자: kyh@chemlocus.com>


표, 그래프: <중국의 주요 석탄화학 생산능력 변화, 중국 석탄산업 전망, 중국 석탄산업 전망>

구독신청
한줄의견
평점 선택
(0 / 500 글자)
관련뉴스
화학뉴스
화학뉴스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올레핀] PAM, 분말화로 저코스트화 성공 2025-02-10  
화학저널
석유화학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주식회사 화학경제연구원(이하 "회사")은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http://www.chemlocus.com, 이하 "켐로커스") 및 책자로 발간되는 "화학저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님들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취급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차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10. 고지의 의무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무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선택: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유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정보, 맥어드레스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사업자등록정보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IP정보, 맥어드레스 - 회원 유무의 확인 및 이용자 식별을 위함 (3)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팩스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이벤트 안내 및 상품 발송,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4) 주소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품 배송을 위함 (5) 부서명, 직위, 관심분야: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6)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 정보 :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와 환불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금융거래 본인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함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된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파기하도록 지시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 보존항목 : 이름, 로그인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질문과 답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책, 회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결제기록 - 보존근거 : 재가입이나 연장 때 필요 - 보존기간 : 회원가입 시점 후 5년, 탈퇴 및 삭제요청시 즉시 파기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1) 파기절차 :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2) 파기방법 :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회원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거나 정정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정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또는 정정하거나, chemj@chemlocus.com, 02-6124-6660~8 내선 202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이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열람 및 정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본인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또는 권익을 현저하게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당해 서비스제공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 법령에 위반하는 경우 등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켐로커스"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1)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공공장소에서의 인터넷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타인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의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용자께서도 개인의 정보를 타인에게 유출시키거나 제공하여서는 아니 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책임 있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비밀번호 등의 유출에 대해서는 "켐로커스"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이용자의 파일 및 전송 데이터, 계좌번호, 이용자 식별 정보 등의 중요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켐로커스"는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소량의 정보입니다. 쿠키는 이용자의 컴퓨터는 식별하지만 이용자를 개인적으로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쿠키에 대한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용자의 웹브라우저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다 받아들이거나, 쿠키가 설치될 때 통지를 보내도록 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켐로커스"에서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켐로커스"는 원활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위탁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유 및 이용기간은 회원 탈퇴 및 위탁 계약 만료 시까지이며 위탁 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탁사수탁 업무 및 목적보유 및 이용기간
미래 이포스트상품 배송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LG U+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홈페이지코리아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회원님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의견을 주시면 접수 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조치하여 처리 결과를 통보해드립니다. 회원님과 켐로커스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정부에서 운영중인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www.cyberprivacy.or.kr)에 그 처리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대검찰청 인터넷 범죄수사센터 (http://icic.sppo.go.kr/02-3480-3600)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http://www.ctrc.go.kr/1566-0112)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에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켐로커스"에 개인정보와 관련한 문의, 의견, 불만을 제기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아래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서경선 상무 sks@chemlocus.com 10. 고지의 의무 현 개인정보 취급 방침은 2016년 1월 4일부터 시행합니다. 또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변경공고일자 및 그 시행일자 등을 부여하여 개정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변경 공고 일자 : 2015년 12월 28일 개인정보 취급방침 시행일자 : 2016년 1월 4일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11년 2월1일]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