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수출량 17% 격감 … 중국 저가공세로 동남아 수출 위축
화학저널 2019.05.06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은일본산이 밀려나고 있다.
일본은 4사가 무수프탈산을 생산하고 있으며 미츠비시가스케미칼(Mitsubishi Gas Chemical)과 가와사키카세이케미칼스(Kawasaki Kasei Chemicals)는 O-X(Ortho-Xylene)를 기본 원료로, C-Chem과 JFE Chemical은 나프탈렌(Naphthalene)을 원료로 무수프탈산 플랜트를 가동하고 있다.
수요는 프탈레이트(Phthalate)계 가소제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UPR(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알키드수지(Alkyd Resin) 등에도 투입되고 있다.
일본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생산량이 2017년 전년대비 10% 증가했지만 2018년에는 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8년에는 상반기에 무수프탈산 생산기업 가운데 1사가 설비 트러블을 일으켜 전체 공급량이 15만9375톤으로 1.9% 줄어들자 내수 공급을 우선함으로써 수출이 4만1379톤으로 17.0% 급감했다.
또 O-X를 원료로 사용하는 미츠비시가스케미칼과 가와사키카세이가 원료가격 급등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수출을 축소한 영향도 작용했다.
일본기업들은 무수프탈산을 주로 동남아에 수출하고 있으며 동남아 수요 자체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2018년에는 베트남을 제외한 동남아 수출이 전반적으로 감소해 증가세가 다소 둔화됐다.
타이 수출이 1142톤으로 36.7%, 말레이지아는 6625톤으로 27.6%, 필리핀은 1373톤으로 29.6% 격감했다.
최대 수출지역인 인도네시아 역시 루피아 약세가 작용하며서 2만2791톤으로 17.7% 줄었다.
아시아 무수프탈산 시장은 앞으로도 환경이 급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나프탈렌을 원료로 사용하는 중국기업들이 동남아에 저가공급을 확대하고 있어 가격경쟁력이 낮은 일본산 및 한국산이 밀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다만, 국내 무수프탈산 수출은 아직 타격을 받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국내 수출량은 2016년 18만2623톤에서 2017년 16만8670톤으로 7.6% 감소했으나 2018년에는 17만7915톤으로 5.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 수출량 급증이 전체 수출 호조를 이끌었다. 인도네시아 수출은 2014년 4567톤, 2015년 3168톤, 2016년 3150톤, 2017년 4865톤 등 5000톤을 넘지 못했으나 2018년에는 1만7844톤으로 266.8% 폭증했다.
싱가폴 수출도 1533톤으로 269.8%, 멕시코는 1083톤으로 224.3% 폭증했다.
수출국 1위인 인디아 수출도 2017년 3만톤대에서 2018년 5만1125톤으로 49.8% 급증했고, 타이 역시 1만9118톤으로 13.5% 증가하며 2만톤에 육박했다. UAE(아랍에미리트) 수출도 1만2708톤으로 36.3% 증가하며 7년만에 1만톤대를 넘어섰다.
한편, 무수프탈산 현물가격은 4월 초 CFR China 톤당 940달러, CFR SE Asia 1040달러로 각각 20달러 상승했다. 4월 동북아의 정기보수에 따라 동남아 수요처들이 재고를 확충하기 위해 구매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애경유화(대표 임재영)가 울산 소재 무수프탈산 21만톤 플랜트를 5월7일부터 3주간 정기보수하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가동중단에 따른 생산 차질이 1만2000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더군다나 O-X 현물가격이 4월12일 FOB Korea 990달러로 60달러 폭등함으로써 무수프탈산도 영향을 받을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Formosa Chemicals & Fibre(FCFC)의 마일랴오(Mailiao) 소재 No.3 아로마틱(Aromatics) 플랜트에서 4월7일 화재가 발생해 공급차질이 발생한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No.3 플랜트는 생산능력이 P-X(Para-Xylene) 90만톤, 벤젠(Benzene) 64만톤, O-X 24만톤으로 파악되고 있다. FCFC는 No.1 플랜트를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No.2 플랜트는 8월 중순부터 2-3주간 정기보수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차질이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강윤화 선임기자>
표, 그래프: <무수프탈산 수출동향, PA 가격동향>
<화학저널 2019년 5월 6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