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Polypropylene)는 동북아만 올랐다.
아시아 PP 시장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87달러로 상승한 가운데 가동률 감소에 따른 타이트한 공급과 최근 원료 강세는 상승했다.

아시아 PP 시세는 7월3일 CFR FE Asia 기준 라피아(Raffia) 및 인젝션(Injection) 그레이드가 톤당 945달러, IPP Film 및 BOPP는 955달러, 블록 코폴리머(Block Copolymer)는 970달러로 각각 10달러 상승했다. CFR SE Asia는 라피아 및 인젝션 1000달러, IPP Film 및 BOPP 1010달러, 블록 코폴리머 1033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CFR S Asia도 라피아·인젝션 1045달러, BOPP 및 IPP Film 1065달러, 블록 코폴리머 1080달러로 보합세에 그쳤다.
유럽은 7월5일 FD NWE 라피아가 톤당 1200유로, 블록 코폴리머는 1270유로로 각각 20유로 올랐다.
국제유가가 7월3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87.34달러로 상승한 가운데 중동에서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고, 기상 기관들이 미국에서 강력한 허리케인을 예고하고 있으며, 시장 참가자들은 5등급 허리케인 베릴이 걸프만 정유소에 미치는 위험에 주목하고 있다. 참가자들은 글로벌 지정학적 및 기후적 발전 상황을 계속 주시하면서 신중한 접근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점점 더 글로벌 석유 공급을 방해할 잠재력을 보이고 있다.
아시아 시장은 제한된 물량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아시아 해상 무역은 제한된 컨테이너 공간에 계속 영향을 받았다. 시장 심리는 대체로 안정적이었으며, 완제품에 대한 수요가 약한 가운데 구매자들은 잠재적인 가격 상승에 대해 관망하고 있다.
동북아 시장은 선물가격이 주로 타이트한 지역 공급으로 인해 초기 하락 이후 강세를 보였다. 특히 톈진(Tianjin)의 메이저 시설에서 예상치 못한 정전으로 인한 가동중단과 원료 가격 강세는 상승세로 이어졌다.
국내 생산업체들은 지난주와 동일한 가격을 유지했지만, 일부 거래자들은 재고 압력을 낮추기 위해 가격 할인을 제안했고, 해외 구매자들의 문의 증가와 일부 재고 보충 활동으로 수출 거래가 약간 증가했다.
동남아 가격은 7월 선적 물량의 현물 거래가 마무리되면서 안정세를 보였다. 예정된 정기보수가 없어, 지역 구매자들은 앞으로 몇 달 동안 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PP 수입을 매우 신중하게 진행하고 있다. 또한 서쪽 수출 루트 컨테이너 운임이 계속 상승하면서 국내 또는 지역 시장에서의 판매 거래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
인디아 가격은 중동 생산업체들의 높은 가격 제안에 대해 구매자들이 저항한 후 이번 주에 안정세를 보였다. 공급망 장애로 인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생산업체들로부터의 화물 이동이 제한되었고, 중동 생산업체들은 공급 격차를 메우고 가격 인상을 통해 최대한의 이익을 얻기를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인디아 메이저 구자라트(Gujarat) 소재 PP 34만톤 플랜트를 이번 주 초 가동 중단하였고, 1주일 후에 재가동될 가능성이 높다.
남아시아에서는 열악한 운송 조건으로 인해 동남아 및 동북아로부터의 수입이 재정적으로 실행 가능하지 않아 7월 선적에 대한 제안이 부족한 상황이다. 구매자들은 혼란이 비교적 덜한 중동에서의 자재 수입을 열망하고 있다.
7월 중국에 공급하는 호모(Homo) 그레이드에 대해 사우디가 CFR 960달러를, 중동이 CFR 930달러를 제시했다. 베트남에는 역외물량이 CFR 980-1020달러로 전주와 동일하게 요구했다. 인디아도 역외물량이 CFR 1030-1060달러로 전주와 동일하게 제시했다. 릴라이언스(Reliance Industries)는 7월1일 fiber & lamination 그레이드는 kg당 2루피, 그 외 PP 가격을 kg당 1루피 인상했다.
원료 프로필렌(Propylene)은 7월2일 CFR China 톤당 870달러로 5달러 하락했으나, FOB Korea는 835달러로변동이 없었다.
PP(라피아: CFR FE Asia)와 프로필렌(CFR China)의 스프레드는 톤당 75달러로 15달러 늘어났으나, 손익분기점 150달러를 크게 밑돌아 적자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Sinopec Luoyang Company는 뤄양(Luoyang) 소재 No.1 PP 9만톤 플랜트를 6월18일, Sinopec Maoming Petrochemical은 광둥성(Guangdong) 마오밍(Maoming) 소재 No.3 PP 20만톤 플랜트를 7월1일, Huizhou Lituo New Materials는 후이저우(Huizhou) 소재 PP 30만톤 플랜트를 7월1일 정기보수 들어갔다.
Ningxia Baofeng Energy는 닝샤후이족자치구(Ningxia) 인촨(Yinchuan) 소재 PP 30만톤, 33만톤, 50만톤 플랜트를, Shandong Chambroad Sinopoly New Material은 빈저우(Binzhou) 소재 No.2 PP 20만톤 플랜트를 지난주 초 정기보수 들어갔다.
Sinopec-SK Wuhan Petrochemical은 4월17일 정기보수 들어갔던 후베이성(Hubei) 우한(Wuhan) 소재 No.2 PP 20만톤 플랜트를, Sinopec Sabic Tianjin Petrochemical은 6월24일 정기보수 들어간 톈진(Tianjin) 소재 PP 45만톤 플랜트를, Hebei Haiwei Group은 6월4일 정기보수 들어간 허베이성(Hebei) 소재 PP 30만톤 플랜트를 지난주 재가동했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