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생명공학(BT) 연구개발에 필수 기반시설인「국가영장류센터」를 설치키로 하고 2002년 예산안에 소요예산을 반영키로 했다. 「국가영장류센터」는 국내 최초로 건립되는 영장류 연구 인프라시설로 사람과 가장 가까운 실험동물인 원숭이, 침팬지 등 영장류 연구를 통해 AIDS, 유전자치료 등 난치병 연구와 첨단 신약의 유효성·안전성시험 등 첨단생명공학 연구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현재 외국에 의존하고 있는 연구용 영장류를 국내에서 사육·보급함으로써 산 학 연의 생명공학기술 연구개발에 공동 활용토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사업기간은 2002-04년으로 총사업비 78억원(2002년 7억원)을 투입하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있는 대전시 대덕연구단지에 옥내 700평(2310㎡), 옥외 800평(2640㎡) 건물을 건설한다. 우리나라는 그 동안 쥐, 토끼, 개 등 소형동물 실험분야에서는 국제공인 품종기관 및 국제품질검정기관으로서 인정받아 왔으나, 동물실험의 꽃인 영장류 분야는 생명공학연구원이 1999년 시험용 영장류를 도입해 실내번식에 성공하였을 뿐 영장류기술은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30-40년 전부터 영장류센터를 설립해 영장류 연구 기반시설로 활용하고 있는데 미국은 7개의 영장류센터(1961-1962년 설립)를, 일본은 2개의 영장류센터(1968-1978년 설립)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생명공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영장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선진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국내 생명공학기술 수요 확대에 따라 영장류 관련연구가 대폭 늘어날 전망으어서 영장류의 공급과 연구를 위한 시설 확보가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정부는 2004년 완공 예정인 국가영장류센터에서 6종의 영장류 600마리를 상시적으로 사육하면서 다양한 영장류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6종의 영장류는 Rhesus Monkey, Crab-eating Monkey, Japanese Monkey, Marmoset Monkey, African green Monkey, Pig-tall Monkey 등이다. 영장류 연구의 주요 분야는 AIDS 등 신규 및 긴급의 Emerging 감염증 연구 뇌 연구, 유전자치료 등 생명과학분야의 최적의 연구모델 신약, 신물질의 약효 및 안전성 평가연구 게놈, 포스트게놈 연구에서 얻어지는 다양한 유전정보의 적용 심리학, 언어학, 認知學 등 기초연구를 통한 사람의 이해 침팬지게놈연구 등 영장류 유전자연구 등이다. 정부는 연구용 영장류 연구시설의 구축에 따라 현재 선진국의 60%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생명공학기술 수준을 2010년까지 세계 7위 수준으로 끌어올려 조기에 선진국 수준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차세대 주력 성장산업인 바이오산업 육성에 크게 이바지함은 물론 현재 전량 외국에 의뢰되고 있는 영장류이용 동물실험의 대체효과 및 기술유출 방지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성영철 교수는 최근 재조합 AIDS 백신을 개발해 독일 German Primate National Center에서 약효를 시험중으로 2년간 12마리를 실험하고 있으며, 비용은 동물 구입비 마리당 3000달러에 유지비도 지불하고 있을 정도이다. 전세계에서 영장류 보유기관은 33개국 183개 기관이 있으며 동남아, 아프리카 등 생산국 및 미국, 일본, 유럽 등 이용국으로 구분되는데, 이용국들의 대부분은 신규 의약품 개발 및 생산에 경쟁력 있는 생명과학 선진국가들이다. 미국은 100여개 이상의 영장류 연구기관들이 있으며 1961-62년 California, Wisconsin, Washington, New England, Oregon, Tulane, Yerkes 등 7개의 Regional Primate Research Center를 집중적으로 설립했다. NIH의 지원 아래 수천마리의 다양한 영장류를 보유·이용해 소아마비, 풍진 등의 백신 개발 및 AIDS, 뇌, 노화 연구개발 등 생명과학 분야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일본은 선진국 중 유일한 자생 영장류 보유국으로, 70여개 이상의 영장류 보유기관들과 Kyoto Univ. Primate Research Center(1968년), Tsukuba Primate Center(1978년) 2개의 국가영장류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쯔쿠바 영장류센터는 세계 유일의 무균 원숭이를 2200마리 사육하고 있다. 또 인도네시아 소속 2개의 무인도에 미국과 함께 영장류 번식farm을 구축해 안정적인 영장류 공급원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사람과 침팬지는 98.5%이상 유전적으로 동일하며, 여러 부분에서 다른 실험동물에 비해 인간과 유사해 질병연구의 최적 연구모델로 평가되고 있다. 영장류는 뇌 크기 및 형태가 사람과 유사하며, 침팬지는 초등학생 정도의 IQ를 보유하고 있고 별도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 또 시각이 사람과 같이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물을 입체적으로 보고 느낄 수 있고, 이빨이 사람과 같이 상하 32개를 가지고 있으며, 손가락은 5개로 지문과 장문이 있으며 물건을 쥘 수 있다. 특히, 에볼라바이러스, AIDS, B형 간염, 결핵, 말라리아 등 사람과 동일하게 감염되는 다양한 인수공통전염병을 가지고 있다. 다만, 야생 원숭이는 멸종위기동물로 분류되며, 1976년 워싱턴조약(멸종위기동물의 국제교역금지조약)에 의거해 야생으로부터 얻어진 원숭이는 국제적인 교역이 전면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전세계적으로 이용되는 원숭이는 야생 원숭이로부터 생산된 동물에만 한하며, 국제교역 및 항공수송이 가능한 상황이다. 또 야생 원숭이는 에볼라, AIDS 등 사람에게는 아주 위험한 인수공통 전염병을 가지고 있어 위험한 질병이 없는 청정한 원숭이를 사용해 연구에 이용하고 있다. 그래프,도표:<영장류 수요전망><그림 : 사람과 원숭이의 유사성> <Chemical Daily News 2001/10/2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PBT, 리사이클 소재로 환경성 강화 | 2025-01-1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아로마틱] BTX, 일본 시장 축소 주목하라! | 2025-04-25 | ||
[EP/컴파운딩] PBT, 자동차용 수요 회복 기대 글로벌 시장은 침체 계속… | 2025-02-14 | ||
[아로마틱] BTX ②, 중국 신증설 압박 강화 일본 수요 감소 계속된다! | 2024-10-04 | ||
[아로마틱] BTX ①, 벤젠, SKI·에쓰오일 “흑자” 중동 COTC 기술 부상한다! | 2024-09-20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