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혼잡에 의한 비용증가를 회피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차량항법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차량항법시스템의 세계시장 규모는 2000년 31억달러에서 2005년에는 6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세계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일본은 차량항법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이 1999년 기준 400만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도 1962년 3만대에 불과했던 자동차 등록대수가 1997년 1000만대를 돌파하고 2009년에는 2000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교통혼잡비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교통개발연구원에서는 2000년 전국의 지역간 도로와 7대 도시에서 발생한 교통혼잡비용이 전년대비 13.6% 증가한 19조448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발표했다. 차량항법시스템은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목적지까지의 길을 안내하는 첨단기술로 인공위성이나 이동통신수단 등에 의해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시스템, 실제차량에 장착되는 단말기, 지리정보를 구축, 유지관리 및 제공하는 전자지도, 경제적으로 경로를 선택하고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경로계획 및 안내기술 등이 결합돼 있는 정보화 사회의 핵심기술 중 하나이다. 특허 출원은 1995년을 기준으로 급속히 증가했으나, IMF를 거치면서 출원이 크게 위축된 후 2000년대 들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으며 2001년 출원 중 아직 미공개분을 고려하면 2001년에도 증가세가 유지됐다.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등 자동차 및 관련기업과 현대전자, 삼성전자 등 전기전자기업이 주요 출원인을 구성하고 있으며 Mitsubishi 電氣, Asin AW 등 일본기업들서도 국내에 출원하고 있다. 특징적인 것은 점유율 2% 미만의 기타기업이 전체의 25%를 차지할 정도로 숫자가 많은데, 차량항법시스템 기술의 특성상 시스템 구축 등 대기업에서 감당해야 할 분야가 있는 반면, 세부기술별로 전문벤처기업에 적당한 분야가 공존하기 때문이다. 한국, 미국, 일본 3국 모두 위치추적시스템과 경로계획/안내를 중심으로 출원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은 위치추적시스템 관련기술이 발달돼 있고, 일본은 출원건수를 통해서도 세계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국은 위성항법을 이용한 위치추적시스템 기술 등의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은 선진기술을 이용한 응용제품에 주력한 산업구조에 기인한 특징으로 분석된다. 차량항법시스템은 자동차산업과 IT산업의 결합체로서 현재 새로운 기술발전이 기대되는 분야이기 때문에 IT 응용기술에 강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기업과 벤처기업이 공존하고 있는 국내 산업구조에 매우 유리한 신기술 분야이다. 차량항법시스템 기술은 각 분야별 기술개발에 치중하는 단계에서, 현재는 통합해 전체 시스템을 구축하고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화 단계에 와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세부기술 개발에 치중하기 보다 차량항법 원천기술과 이동통신기술을 결합한 응용분야 등 틈새기술과 응용기술을 통해 세계시장을 향한 사업화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아울러 국내시장 성장에 따른 외국기업의 활발한 진출이 예상돼 적극적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관련 특허권 취득에 주력해야 할 전망이다. 표, 그래프: | 차량항법 시스템 특허 출원동향 | 차량항법 시스템 특허 출원 점유율(2002.5) | 차량항법 시스템 특허 출원분포 | <Chemical Daily News 2002/07/2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디지털화] 국도화학, 다쏘시스템과 DX 추진 | 2025-04-01 | ||
[페인트/잉크] KCC, AI 기반 조색 시스템 강화 | 2025-02-11 | ||
[바이오연료] HD현대, 수소발전 시스템 추진 | 2024-11-04 | ||
[페인트/잉크] 페인트, AI로 조색 시스템 “혁신” | 2024-06-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자동차소재] 자동차 시스템, 배터리부터 디스플레이까지 차세대 개발 경쟁 본격화… | 2024-12-20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