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기업들이 휘발유·경유 등의 황 함유량을 줄이기 위한 탈황시설 증설시기 등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환경부가 황 함유량을 정유기업별로 공개하는 등 규제가 강화되고 있지만 설비증설에 적잖은 투자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유업계에 따르면, 정유기업들은 탈황설비의 조기증설에 대해 내부적인 검토작업에 착수했다. 당초 환경부와 정유기업들은 2005년 또는 2007년까지 경유의 황 함량을 최고 50ppm 이내로 떨어뜨리는 방안을 협의해왔다. 그러나 경유의 황 함량을 50ppm 이하로 낮추려면 각 정유기업별로 수천억원, 정유업계 전체로는 4조원 정도의 자금이 소요될 전망인데, 최근 과잉생산에 따른 채산성 악화로 정유기업들이 투자시기와 규모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정유기업들은 규제방침이 마련되기 전까지는 황 및 벤젠 함량 축소 경쟁을 벌이기보다는 현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경쟁기업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환경부의 발표로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았다고 판단하는 정유기업이 대대적인 탈황설비 공사에 착수하게 되면 치열한 시설경쟁이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Chemical Daily News 2002/07/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디지털화] DX, 정유공장 가동 안정 “효자손” | 2025-04-14 | ||
[석유정제] 정유4사, 영업적자 우려된다! | 2025-04-11 | ||
[화학경영] 에쓰오일, 정유·화학 적자 “우려” | 2025-03-31 | ||
[석유정제] 정유공장, 에너지 절감 노력 가속화 | 2025-03-31 | ||
[석유정제] 정유4사, 정제마진 강세 기대한다! | 2025-03-13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