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전체 산재 근로자 8만1911명 … 경제적 손실 10조원 추정 2002년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수가 전년대비 143명 감소해 1998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그러나 전체 산업재해 사망자 2605명 중 화학제품, 의약품, 고무제품 등 화학관련 산업에서의 사망자가 85명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노동부에 따르면, 2002년 산재보험 적용 사업장은 모두 100만2263개이며, 이 곳에 일하는 근로자 1057만1279명 가운데 산업재해를 당한 근로자는 8만1911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2001년과 비교하면 사업장 수는 9만2802개 늘어났으나 근로자수는 9907명이 줄었고, 재해자수는 477명이 증가한 것이다. 재해율은 0.77%로 전년수준을 유지했다. 이에 따라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추정액은 10조1000억원으로 전년대비 1조4000억원이 증가했으며, 노사분규로 인한 생산차질액 1조7000억원과 비교할 때 약 6배에 이르렀다. 2002년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는 2605명으로 전년대비 143명 감소해 1998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근로자 1만명당 사망자수인 사망만인율(사망자수/근로자수×10000)도 2.46으로 전년대비 0.14p 감소했다. 이 가운데 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1378명으로 전년대비 173명(11.2%) 감소한 반면,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는 1227명으로 30명(2.5%) 증가했다. 업무상 질병 사망은 주로 뇌심혈관 질환에서 증가해 760명에 이르렀고, 추락 464명, 진폐 386명, 사업장외 교통사고 149명 순으로 발생했다. 또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66명(25.6%)으로 가장 많았고, 제조업 641명(24.6%), 광업 396명(15.2%) 순이었으며, 건설재해 사망자 중 49.2%가 추락, 광업 사망자의 90%가 진폐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상 질병자수는 5417명으로 전년대비 236명(4.2%) 감소했다. 난청, 중금속 중독 등에 의한 직업병자는 1351명으로 전년대비 191명(12.4%), 뇌심혈관 질환자, 근골격계 질환자 등 작업관련성 질병자는 4066명으로 전년대비 45명(1.1%) 각각 감소했다. 전체 제조업 산업재해 사망자 중 화학제품 제조업에서의 사망자수는 72명으로 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 업종의 사망자수 80명에 이어 2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또 화학제품 제조업 1.12%를 비롯해 유리 제조업 1.75%, 고무제품 제조업 1.38% 등의 재해율도 전체 산업 평균 재해율 0.77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산업재해 중 근로자 50명 미만 사업장에서의 전체 재해의 71.2%가 발생했으며, 특히 5인 미만 사업장에서 전체 재해의 22.28% 발생해 재해율이 1.11%에 이르렀다. 2001년과 비교할 때 50명 미만 사업장에서는 2091명이, 특히 10명 미만 사업장에서는 1993명이 증가한 것이다. 1000명 이상 사업장의 재해도 153명 증가해 다소 늘어났는데, 이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근골격계 등 작업관련성 질환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작업관련성 질병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협착, 전도, 추락, 충돌, 낙하?비래 등 5대 재해형 반복 재해가 전체의 71.77%를 차지했으며, 절단재해(3563명)는 전체 재해 중에서의 비중은 크지 않으나 금속제품, 목재품, 화학제품 제조와 건설업 등 절단재해 위험업종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년에 비해 52%나 늘어났다. 한편, 산업재해는 입사 근속기간 1년 미만 재해자가 전체의 60.59%를 차지했으며, 특히 근속기간 6개월 미만 근로자의 재해가 50.49%를 차지했다. 또 40세 이상 중장년층에서 전체 재해의 59.13%가 발생했으며, 요일별로는 월요일과 금요일에 각각 16.61%, 16.02%로 가장 많았고, 일년 중에서는 12월과 5월에 각각 10.99%와 9.55%가 발생했다. <조인경 기자> 표, 그래프: | 산업재해 발생현황(2002) | 산업재해 현황(2002) | <Chemical Journal 2003/03/2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디지털화] 화학산업, 클라우드로 정보 활용 | 2025-05-02 | ||
[엔지니어링] 화학산업, 콜로이드 밀 수요 증가 | 2025-04-25 | ||
[산업정책] 화학산업, AI·디지털 혁신 준비 | 2025-04-2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①, 그린 화학제품 생산 본격화 세계 최초 바이오제조 “성공” | 2025-05-02 | ||
[에너지정책] 트럼프 폭풍, 에너지·환경 정책 오락가락 화학산업, 변화를 주시한다! | 2025-04-25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