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유기업들이 세계적인 석유화학제품 수급타이트 및 국제가격 상승을 틈타 석유화학제품 생산확대에 나서고, 석유화학기업들도 나프타 가격급등 및 프로필렌 공급부족에 대처해 정유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Nippon Oil이 FCC 개·보수공사를 실시해 연료로 자가소비해온 LPG Rich Off-Gas를 고압·액화함으로써 프로필렌으로 회수해 3만톤 정도를 증설했고, Idemitsu 그룹은 정유공장의 생산기능을 정유-석유화학으로 전환하고 Mitsui Chemicals과 Chiba 공장에 FCC 공동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ExxonMobil도 일본 Kawasaki에서 Tonen General Oil과의 연계강화를 중심으로 석유화학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의 정유-석유화학이 연계를 강화하고 있는 것은 20% 정도 공급과잉 상태인 일본 정유공장의 원유 처리능력을 활용해 석유화학제품 생산을 확대함으로써 가동률 향상 뿐만 아니라 석유제품의 수급타이트를 유도해 수익을 호전시킬 수 있다는 계산과 함께 석유화학도 발등에 떨어진 나프타 가격급등으로 인한 원료코스트 부담을 완화하고 NCC를 건설하지 않고도 프로필렌 공급부족을 일정부분 해소할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일본 석유화학기업들은 일본산 나프타 가격이 2004년 3/4분기에 kl당 3만1500엔 안팎에 달하고 4/4분기에는 1990년 4/4분기에 기록한 오일쇼크 이후 최고치인 3만5000엔 안팎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짙어짐에 따라 코스트 상승으로 인한 수익악화를 크게 우려하고 있다. 석유화학제품 가격인상이 불가피하나 2004년 들어 수차례에 걸쳐 가격인상을 실시했기 때문에 더이상 가격을 올릴 수 없는 딱한 처지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2004년 들어 가파르게 상승한 국제유가는 연일 사상 최고치를 갱신하면서 WTI가 10월 중순 배럴당 55달러를 돌파한 바 있고, Dubai유도 37-38달러를 오르내림으로써 나프타 가격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시아의 나프타 Spot 가격은 10월 중순 톤당 450달러를 돌파했고, 일본산 나프타로 환산하면 kl당 3만6000엔을 웃도는 최고수준을 기록한 바 있다. 일본 석유화학기업들은 나프타 가격이 kl당 3만5000엔까지 상승하면 판매가격 단계에서 또다시 kl당 약 10엔의 가격인상이 필요하나 원료코스트 상승분을 석유화학제품 판매가격에 전가할 수 없어 전체 석유화학 체인의 채산성 개선을 시급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나프타 가격폭등의 문제는 한국 석유화학기업들에게도 마찬가지로 석유화학제품 가격이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채산성 악화 부담을 피할 수는 없는 상태이다. 나프타 수입가격이 CFR China 기준 9월 419달러, 10월 468달러로 2001년 7월 231달러나 2003년 10월 284달러에 비해 무지막지하게 폭등했기 때문이다. 특히, 원유 및 나프타 가격폭등으로 북미 석유화학산업이 다시 경쟁력을 되찾아가는 징후를 보이고 있어 나프타 가격의 고공행진에 북미산 석유화학제품의 수출이 살아난다면 원료가격 급등에 석유화학제품 판매가격 하락이라는 최악의 상황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북미 천연가스 가격은 100만BTU당 5-6달러로 2002년 이전 2달러 안팎에서 2002년 이후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으나 원유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회복하고 있고,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미국가격도 아시아 Spot 가격을 크게 밑돌고 있어 아시아 수출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북미 석유화학산업은 천연가스 가격급등으로 국제경쟁력을 잃고 아시아의 석유화학제품 수급타이트에도 영향이 미친 바 있으나 원유가격이 WTI 기준 배럴당 50달러를 넘는 수준으로 폭등하고 나프타 가격도 급등하면서 가격경쟁력이 회복되고 있다. 천연가스의 100만BTU당 가격에 5.8배하면 배럴당 원유가격으로 북미 천연가스 가격은 5-6달러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어 원유가격으로 환산하면 배럴당 30-35달러에 불과하기 때문에 원유·나프타 계열의 원료보다 저렴해지고 있다. 더군다나 에틸렌은 아시아 Spot 가격이 2004년 초 톤당 800달러에서 최근에는 1100-1200달러로 1990년 걸프전쟁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으나 북미 계약가격은 2004년 초부터 톤당 700달러 정도에서 움직여 아시아-북미 가격 차이가 크게 벌어지고 있다. 북미는 에틸렌 환산 250만톤 이상의 공급과잉 상태이다. 나프타 고공행진 부담을 완화하고 프로필렌 공급부족을 해소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정유-석유화학의 연계이다. <화학저널 2004/11/22·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CFRP, 글로벌 사업으로 연계 | 2025-04-17 | ||
[퍼스널케어] 화장품, 천연계 표면처리제 개발 | 2024-10-15 | ||
[디지털화] MI, 보안 컴퓨팅으로 데이터 연계 | 2024-08-30 | ||
[배터리] 음극재, 흑연계 충전 원리 실마리 | 2024-07-0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PVC안정제, 칼슘·아연계 수요 증가 | 2024-05-24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