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비 생산비중 높고 농업용 가장 많아 … 수요변동 크고 편중화까지 국내 화학비료 소비량이 갈수록 줄고 있다.국내 비료산업은 소규모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고 1962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착수되면서 영남화학과 진해화학 등 대단위 복합비료 및 한국비료 울산공장이 건설됨으로써 비료 자급화의 계기가 마련됐다. 또한 정부의 중화학공업 정책과 수출촉진 시책으로 1977년 남해화학 공장이 준공됐으나 과잉생산제로 1987년 진해화학, 1988년 영남화학, 1994년 한국비료, 1998년 남해화학이 매각됨으로써 비료공장의 구조조정 및 민영화가 완료됐다.
비료산업은 비료제품 뿐만 아니라 질산, 인산, 황산 등이 정밀화학 관련제품의 기초원자재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연관산업에 대한 파급 및 수입대체 효과가 매우 큰 산업으로 알려져 있다. 비료는 중량물이기 때문에 제품가격에 비해 물류비용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아 국내상품 평균 물류비용 14.3%보다 높은 19.2%에 이르고 있다. 비료는 계절상품으로 적기 안정공급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연간 생산이 이루어지는 반면, 소비는 연중 시기별로 수요변동이 크며 특히 성수기인 3-6월경에 수요가 편중돼 있다. 국내 비료 생산능력은 451만2000톤이며2003년 비료 생산은 복합비료 243만4000톤(73.4%), 질소질단비 75만5000톤(22.8%), 가리질단비 7만톤(2.1%), 인산질단비 5만6000톤(1.7%)으로 총 331만5000톤에 달하고 있으며 복합비료 생산비중이 높다.
2003년 비료 소비는 복합비료 141만8000톤(67.65%), 질소질단비 35만9000톤(17.12%), 가리질단비 17만6000톤(8.40%), 인산질단비 14만3000톤(6.82%)으로 총 209만6000톤에 달했다. 정부의 적정시비에 대한 지도와 완효성비료의 개발보급 확대 및 환경오염, 토양오염 그리고 유기질, 부산물비료의 이용증대로 화학비료는 1990년에 최대의 소비량을 기록한 이후 점점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표, 그래프: | 국내 비료 생산실적 | 국내 비료 소비실적 | <화학저널 2005/05/0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농화학] 화학비료, 베트남 수입규제 비상… | 2017-08-17 | ||
[에너지정책] 화학비료, 미얀마 시장 공략하라! | 2017-06-07 | ||
[농화학] 화학비료, 베트남 DAP 수출 “타격” | 2017-05-22 | ||
[농화학] 화학비료, 셰일가스계 영향력 확대 | 2017-02-13 | ||
[농화학] 화학비료, 수익성 악화 불가피… | 2017-01-06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