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위안화 절상이 한국 화학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위안화 절상 폭과 속도에 따라 중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중국 정부가 자국 경제를 낭떠러지로 떨어뜨리면서 대폭적인 위안화 절상을 단행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산업자원부가 위안화 절상이 한국의 수출과 수입을 모두 확대시키나 수출확대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한 것은 전체적인 맥락에서 보면 맞는 분석이라는 것이다. 산자부는 <위안화 평가절상 동향 및 영향 분석> 자료를 통해 위안화 절상이 중국경제의 경착륙 등 예상치 못한 파급효과를 낳지 않는다는 전제 아래 한국의 수출과 수입을 모두 확대하고 특히 수출확대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날 것으로 분석했다. 또 국내 수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반도체, 석유화학, 철강, 일반기계, 전자 등의 중국 수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전자, 섬유, 컴퓨터의 제3국 수출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위안화 절상으로 중국제품의 수출에 일정부분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판단을 근거로 하고 있다.위안화 절상이 중국의 수출경쟁력을 후퇴시키고 수입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 수출제품 중 수출용 원·부자재로 사용되는 석유화학, 반도체, 철강의 중국수출에 제동이 걸릴 것은 분명하고, 위안화 절상으로 중국제품의 수출경쟁력이 떨어지는 섬유, 컴퓨터는 제3국에서 한국제품의 수출경쟁력이 되살아나 크지는 않지만 수출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화학산업 입장에서는 석유화학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하고, 위안화 절상으로 중국의 수입가격이 하락해 중국수출 증가가 예상되는 자동차부품, 제3국 시장에서 중국제품과 경쟁이 치열한 전자 및 컴퓨터 제조용 화학제품, 그리고 중국과 절대적으로 경쟁하고 있는 섬유제품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석유화학제품도 중국과의 가격경쟁보다는 세계 및 중국 경기가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위안화 절상 자체만으로는 수출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단정할 수 없다. 다만, 중국이 석유화학제품을 수입해 플래스틱제품으로 가공해 수출하거나 섬유, 전자제품을 제조해 수출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타격이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위안화 절상이 달러화로 거래되는 각종 원자재의 중국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때문에 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에 원부자재를 공급하는 화학기업에게는 유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원자재를 수입해 중국에서 가공한 후 내수시장 위주로 판매하면 수입가격이 하락해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은 세계 최대의 철강 및 비철금속 소비국이고 원유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소비국이라는 점에서 원유를 비롯한 나프타 가격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어 기초원료의 50% 안팎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석유화학기업들에게는 치명타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특히, 중국이 위안화 절상으로 수출둔화→내수침체→경제성장률 둔화가 이어지면 중국수출에 절대적인 타격이 불가피할 수밖에 없어 주의가 요구되는 대목이다. 석유화학은 국내 생산량의 30-70%를 수출하고 수출의 절반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국내 화학산업은 직접적으로 유·불리를 결론내릴 수 없을 정도로 위안화 절상의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지만, 석유화학만 떼어놓고 보면 당장 중국수출이 위축될 수밖에 없고 나프타 가격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만반의 대비책 수립이 절실한 실정이다. 결국에는 나프타 도입비용을 줄이면서 전체적인 제조 코스트를 낮출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는 점에서 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다. 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이 중국의 위안화 절상을 계기로 코스트 경쟁력을 강화하는 대대적인 혁신을 단행할 것을 촉구한다. <화학저널 2005/8/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LDPE, 위안화 강세에도 “주춤” | 2024-11-11 | ||
[석유화학] LDPE, 위안화 약세에도 올랐다! | 2024-10-07 | ||
[석유화학] LDPE, 위안화 강세에 올랐다! | 2024-09-30 | ||
[석유화학] LDPE, 위안화 강세에도 “보합” | 2024-09-02 | ||
[폴리머] LLDPE, 위안화 약세에 관망세로… | 2023-11-06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