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종류의 플래스틱 쓰레기를 한데 모아 녹여 벽돌모양의 고형 연료로 만드는 폐플래스틱 재생공장이 건립된다. 한국프라스틱재활용협회(회장 이국노)는 플래스틱제품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석유화학 등 플래스틱 관련산업과 공동으로 24억7000만원을 투입, 경기도 파주군에 연간 1만2000톤 처리능력을 갖춘 폐플래스틱 고형연료화 시범공장을 건설키로 했다. 이 고형연료 시범공장은 연내에 착공, 97년3월중 준공될 예정이다. 특히, 공장이 본격 가동되면 시멘트와 석회석 가공공장, 제철소, 염색공장 등에서 쓰는 벙커C유와 석탄의 대체연료로 공급됨으로써 석유 에너지 절약은 물론 연간 86만톤규모(1500억원 상당)의 석탄 수입대체효과가 기대된다. 프라스틱재활용협회는 폐플래스틱 재생공장에 필요한 파쇄기·성형기 등 생산설비는 일본 가와사키중공업에서 도입하기로 했으며 10월10일 일본 세키쇼텡과 기술이전 가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협회는 또 파주군 조리면 능안리에 공장부지 1180평을 매입했으며, 공장건립 및 설비 도입에 필요한 24억7000만원은 석유화학기업이 5억원, 플래스틱제품 생산기업이 4억7000만원, 플래스틱용기 사용기업 3억원을 각각 부담하고 나머지 12억원은 정부에 내는 환경부담금에서 지원받을 예정이다. PVC, PE, PP, PS, ABS 등 각종 플래스틱을 혼합해 만든 폐플래스틱 고형연료는 발열량이 톤당 1만㎉로 벙커C유의 9000㎉보다 높을 뿐만 아니라 벙커C유나 석탄을 땔 때보다 유황, 질소, 이산화탄소 등 공해물질 배출량이 80%가량 줄어 환경오염을 크게 덜 수 있다. <화학저널 1996/10/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리사이클] 한화토탈, 폐플래스틱 재생 강화 | 2024-10-28 | ||
[석유화학] 네스테, 폐플래스틱 액화처리 강화 | 2024-04-0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리사이클] 한국, 폐플래스틱 분해 기술 “선도” | 2024-06-21 | ||
[플래스틱] 폐플래스틱, 석유화학 원료로 재탄생 중소·벤처기업까지 “가세” | 2024-06-14 | ||
[리사이클] 폐플래스틱 MR, 일본 중심으로 기술 개발 리사이클 핵심으로 급부상 | 2024-05-31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