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ㆍ석유공사 개발 본격화로 생산 급증 … 2015년 수요 넘어설 듯 동남아의 3대 산유국인 베트남에 최근 천연가스 생산이 급격히 늘어 2015년에는 수요를 훨씬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하노이에 주재하는 세계은행(WB)의 분석에 따르면, 2005년 약 69억㎥에 이르렀던 베트남의 천연가스 생산량은 2010년에는 100억㎥를 넘어서고 2010년에는 200억㎥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세계은행은 1995년 1억㎥에 불과했던 베트남의 천연가스 생산량이 폭증하고 있는 것은 남부 해안에서의 원유탐사 과정에서 천연가스가 쏟아져 나오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남부 바리아-붕타우지역 해안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는 현재 영국의 BP와 한국의 석유공사 컨소시엄 등에 의해 개발되고 있는데 BP가 2002년 만든 남콘손 파이프라인을 통해 남부해안까지 수송돼 인근 공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석유공사 컨소시엄은 2006년 11월 노무현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을 전후해 천연가스 생산을 본격 시작할 예정인데 현재 추정치만 해도 240억㎥에 이르러 연간 10억㎥를 생산하면 24년간 천연가스를 뽑아낼 수 있다. 석유공사는 천연가스를 BP가 만든 남콘손 파이프라인을 통해 바리아-붕타우 해안으로 수송해 이 지역에 각종 공장을 건설하고 있는 베트남측에 판매할 계획이다. 천연가스는 기체상태로 보관과 수송이 어렵기 때문에 해안으로 옮겨서 곧 바로 사용하는 것이 경제성이 높으나 앞으로 하루 생산량이 1억㎥를 넘어서면 보관창고와 액화작업 등을 통해 수출을 하는 방안도 베트남 정부는 계획하고 있다. 한편, 베트남의 남부해안에서는 BP와 석유공사 컨소시엄 이외에도 말레이지아, 미국, 베트남 등 여러 국가들의 천연가스 개발이 진행되고 있어 수년후 베트남은 초과되는 천연가스를 보관하고 외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세계은행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말레이지아는 현재 BP가 운영하고 있는 남콘손 파이프라인과는 달리 400㎞ 거리의 원거리 바다까지 연결이 가능한 또 다른 파이프라인을 곧 완공할 계획으로 있어 천연가스 생산이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노이=연합뉴스 권쾌현 특파원) <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6/05/2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효성화학, 베트남 법인 지분 매각 | 2025-04-28 | ||
[첨가제] 애경케미칼, 베트남 공장 신증설 | 2025-02-28 | ||
[무기화학/CA] 황린, 베트남 전력난으로 강세 | 2025-02-27 | ||
[아로마틱] SM, 베트남 강세에 동남아 올랐다! | 2025-02-27 | ||
[석유정제] SK어스온, 베트남 광구 개발 “순항” | 2025-02-04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