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 생산ㆍ내수ㆍ수출 총체적 부진
|
산자부, 수출경쟁력 약화에 내수경기 불투명 … 수입은 9.5% 증가 2007년 섬유 생산은 수출경쟁력 약화와 내수경기 불투명에 따른 수요 감소 등으로 6.1% 감소할 전망이다.다만, 면사의 증설과 고기능성, 고부가가치 섬유제품 및 산업용 섬유의 수요확대로 일부품목은 증가세가 지속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자원부가 1월8일 발표한 <12개 주력산업의 2006년 실적 및 2007년 전망>에 따르면, 2006년 생산은 화섬업계의 장기불황으로 인한 구조조정 지속과 면사 설비 감소, 해외생산 증가, 다운스트림의 경쟁력 약화 등으로 12.8% 줄어들면서 감소세가 지속됐다. 특히, 면방적(△12%), 직물직조(△17%), 화학섬유(△11%) 생산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내수는 저가 섬유제품의 유입과 집중호우 등 계절적 영향에 따른 소비 둔화로 9.0% 줄었다. 하반기부터 살아나던 의류 소비는 경기회복 지연과 여름철 장마와 집중호우, 늦더위 지속으로 둔화됐다. 수출은 환율하락·고유가 등으로 채산성이 악화된 가운데 중국·인디아 등 후발국과의 경쟁심화 및 가격경쟁력 열위로 5.2% 감소했는데, 의류제품을 포함한 섬유제품(△10.3%)의 수출이 대폭 감소한 가운데 섬유사(△6.3%), 직물(△2.6%) 등도 부진을 지속했다. 수입은 국내생산 감소로 수급이 타이트해진 섬유소재의 수입증가와 국내 패션업계의 해외소싱 확대, 중국산 저가제품의 유입 급증으로 18.5% 증가했다. 섬유류 전체 수입의 60%를 차지하는 중국산 수입이 26.2% 급증했으나 일본(△2.2%), 미국(△9.0%)은 감소했다.
수출은 중국·인디아·베트남 등 후발국의 시장잠식과 해외생산 증가 등의 영향으로 5.5% 감소하고, 수입은 의류제품 수입증가세 지속에 2006년 수입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9.5%로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표, 그래프: | 섬유 수급동향 | <화학저널 2007/01/09>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섬유] 광섬유, 자동차 인테리어 시장 개척 | 2025-11-13 | ||
| [합성섬유] 유리섬유, 중국·일본이 편평형 놓고 대결 | 2025-10-30 | ||
| [EP/컴파운딩] 도레이첨단소재, 항공·우주용 탄소섬유 선도 | 2025-10-21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도레이, 중국 섬유‧EP 사업 확대… | 2025-11-07 | ||
| [EP/컴파운딩] 탄소섬유, 복합소재 시장 성장 “가속화”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