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디젤(Bio-Diesel) 시장은 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낮은 가동률로 고전하고 있는 가운데 신재생연료 의무혼합제도인 RFS(Renewable Fuel Standard) 시행에 따라 2014년 경유의 의무혼합비율이 2.5%로 상향 조절되더라도 수익성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국내 바이오디젤의 의무혼합비율은 2% 수준으로, 정부가 중장기 보급방안에 따라 2012년 의무혼합비율을 3% 수준으로 끌어올렸어야 하지만 몇 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바이오디젤 생산기업들은 법제화를 마련하는 단계로 혼합비율을 2013년 2.5%를 시작해 매년 0.5%씩 높여 최대 5%까지 끌어올리도록 요구할 방침이다. 과거 보급방안이 마련됐을 당시에는 5%에서 7%까지 의견이 분분했지만 자동차 및 정유기업들의 반발이 거세 국내에서는 최대 5% 수준까지만 적용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자동차 생산기업들은 바이오디젤이 경유의 유동성을 떨어뜨리는 물성의 한계 때문에 함유량을 높이면 엔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국내규정은 혼합비율을 최대 5%까지로 규정하고 있는 반면 해외에서는 20%에서 최대 100%까지 허용하는 사례도 있어 국내 혼합비율이 너무 낮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바이오디젤 시장에서는 판매처가 100% 정유기업으로 입찰경쟁을 통해 과열경쟁을 부추김으로써 가격이 매년 낮아지고 있는 것도 문제시하고 있으며, 바이오디젤 생산기업들은 생산성 악화로 가동중단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동식물성 유지 등을 알코올에 반응시켜 만든 순도 96.5% 이상의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로 일산화탄소(CO), 황화합물(SOx), 미세먼지(PM) 등 배출가스를 저감시켜 대기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되며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다. <화학저널 2013년 5월 13일 / 5월 20일>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식품소재] 팜유, 바이오디젤용 수요 증가 | 2025-05-29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뱅크, 바이오디젤 상업가동 | 2024-04-18 | ||
[바이오연료] 케이디탱크, 바이오디젤 9만톤 건설 | 2023-09-04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뱅크, 바이오디젤 원료 확보 | 2022-08-01 | ||
[엔지니어링] GS건설, 바이오디젤 설비 모듈화 | 2022-03-24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