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에너지 절감에 대한 관심이 국제적으로 고조되면서 지구온난화지수가 낮은 친환경성과 연비효율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고효율 타이어 개발과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타이어의 에너지효율 등급제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EU(유럽연합)는 이미 시행하고 있고 미국은 곧 법제화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도 2012년 12월1일 이후 타이어의 에너지효율 등급제를 실시하고 있다. 타이어의 에너지효율 등급제는 타이어의 회전저항을 기준으로 연비가 좋고 나쁨을 등급으로 표시하고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능까지 등급으로 표시하는 제도로, 타이어를 구매할 때 표시등급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고효율 타이어 구입을 유도하는 등 선택의 폭을 넓히는 일석이조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회전저항(Rolling Resistance)과 젖은 노면 제동력(Wet Grip) 실험 결과에 따라 등급을 표기하는 제도를 시행하기 위해 <자동차용 타이어의 에너지 소비효율 측정 및 등급기준 표시 등에 관한 규정>을 발표했지만, 정작 소비자들은 고효율 타이어에 대한 관심이 낮고 원료 변환도 쉽지 않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표, 그래프: <국내 타이어 수급동향><국내 신차용·교체용 타이어 수요동향><래디얼타이어 수출동향><래디얼타이어 수입동향> <화학저널 2013년12월 23일/30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자동차소재] HS효성, 친환경 타이어 소재 개발 | 2025-09-23 | ||
[자동차소재] 타이어, 전기자동차용 개발 주력 | 2025-09-02 | ||
[화학경영] HS효성, 타이어 보강재 침체에도… | 2025-08-01 | ||
[자동차소재] HS효성, 타이어코드 소송 이겼다! | 2025-06-1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합성 실리카, 타이어도 친환경이 대세 재생가능 소재 투입 확대…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