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아로마틱(Aromatics) 수급밸런스는 2014년 127만톤 공급과잉에서 2020년에는 835만톤 공급부족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발표한 「글로벌 석유화학제품의 수급동향」에 따르면, 아로마틱 시장은 중국이 생산능력을 대대적으로 확대하더라도 수요가 더 빠르게 신장할 뿐만 아니라 북미지역이 셰일(Shale) 개발을 통해 원료의 경질화를 추진하면서 아로마틱 생산량이 크게 늘어나지 못해 공급부족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공급부족분은 중국이 2014년 235만톤에서 2020년 932만톤으로 약 4배 늘어나고 북미도 300만톤에서 679만톤으로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동의 생산량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고 한국·일본의 수출여력도 한계점에 도달해 글로벌 수급타이트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2020년 BTX 835만톤 “공급부족”
벤젠(Benzene)은 중국 수요가 2015-2020년 연평균 8.4% 신장하지만 생산 신장률은 4.6%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급부족분은 2014년 53만톤에서 2020년 316만톤으로 확대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북미는 생산량이 크게 늘어나지 않는 가운데 수요가 2.3% 늘어나면서 공급부족분이 349만톤에서 502만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벤젠 수급밸런스는 공급부족 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공급부족분은 2014년 110만톤에서 2020년 480만톤으로 확대될 것으로 파악된다.
북미가 중남미, 아시아산 벤젠을 수입하고 있으나 중국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반면 수출포지션에 있는 한국과 일본의 생산이 거의 늘어나지 않으며 아시아산의 북미 유입량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판단된다.
톨루엔(Toluene)도 벤젠과 마찬가지로 중국·북미의 수요 신장이 글로벌 수급밸런스에 큰 영향을 미치며 2014년 33만톤 공급과잉에서 2020년 241만톤 공급부족으로 전환될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의 수요가 2015-2020년 5.1% 신장하는 반면 생산은 1.6% 늘어나는데 그쳐 공급부족분은 98만톤에서 256만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북미는 5만톤 공급과잉에서 114만톤 공급부족으로 전환되고 일본은 수출여력이 확대되지만 설비능력은 변하지 않을 것으로 파악된다.

중동, PTA 생산능력 800톤으로 확대
자일렌(Xylene)은 글로벌 수급밸런스가 2014년 204만톤 공급과잉에서 2020년 114만톤 공급부족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공급부족분이 84만톤에서 360만톤으로 확대되고 북미가 44만톤 공급과잉에서 63만톤 공급부족으로 전환되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벤젠, 톨루엔과 달리 미주 전역에서 공급과잉이 지속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본은 자일렌 생산능력이 851만톤으로 세계적으로 큰 편이며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공급과잉분이 2014년 165만톤에서 2020년 210만톤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폴리에스터섬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병의 원료로 사용되는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는 중국이 글로벌 시장의 생산 및 수요의 절반 이상을 장악하고 있으나 원료인 P-X(Para-Xylene)는 자급능력이 크게 부족해 공급과잉 상태인 한국과 일본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중국은 PTA 생산능력이 2011년 2000만톤에서 2014년 4883만톤으로 2.4배 늘어나 생산 2620만톤에 수요 2690만톤으로 공급부족분이 70만톤으로 축소됐다.
중국은 생산능력을 확대함으로써 수입포지션에서 수출포지션으로 전환됐으며 최근 수출량을 늘리고 있다.
PTA 플랜트 신증설 열풍은 일단락됐으나 P-X는 생산능력이 2014-2020년 사이 거의 변하지 않아 공급부족분이 2014년 987만톤에서 2020년 1689만톤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아시아는 P-X 공급과잉 상태인 한국, 일본, 타이완, ASEAN (아세안)만으로 중국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지만 중동이 생산능력을 2014년 455만톤에서 2020년 825만톤으로 확대함에 따라 글로벌 수급밸런스를 유지할 것으로 파악된다.
2020년 글로벌 공급과잉량은 P-X 104만톤, PTA 107만톤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강윤화 기자: kyh@chemlocus.com>
표, 그래프: <글로벌 벤젠 수급 전망, 글로벌 톨루엔 수급전망, 글로벌 자일렌 수급전망, 글로벌 PTA 수급전망, 글로벌 P-X 수급전망>
<화학저널 2017년 5월 1·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