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칼슘은 부가가치를 지향하는 정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탄산칼슘은 주택자재 필러용을 비롯해 광범위한 분야에 기여하고 있는 소재이나 기존 사업영역의 수요가 한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탄산칼슘 생산기업들은 석회석을 분쇄해 제조하는 중질탄산칼슘, 합성공법으로 제조하는 경질탄산칼슘 사업에서 발전시켜온 입자제어, 표면처리 등 핵심기술을 활용한 응용제품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일본은 Okayama, Hiroshima 등이 대표적인 석회석 산지로, 광산에서 채굴한 석회석은 식품첨가물 및 국전 그레이드로 취급할 정도로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고백색 석회석을 원료로 생산한 탄산칼슘은 입자제어, 표면처리, 이물질 제거 등의 높은 품질 관리에 따라 페인트 및 수지, 고무, 종이 등의 폭넓은 공업제품에 필수불가결한 소재이다.
공업제품은 부피 확대 및 코스트 절감을 실현하는 필러(증량제)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
필러의 저코스트화로 수입제품과의 가격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고 있으나 주요 공급분야인 주택자재는 인구 감소가 예측되고 있어 전망이 좋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기업들은 탄산칼슘 사업을 통해 축적해온 기술을 활용해 부가가치제품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탄산칼슘의 미립자화가 기술 트렌드의 하나로 경질탄산칼슘은 나노 오더에 대응한 테스트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석회석을 분쇄, 분급하는 중질탄산칼슘도 1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립자 개발 움직임이 활발하다.
미립자는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응집하기 쉬운 특성이 있으나 생산기업들은 표면처리 등의 기술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동일 필러 용도로도 수지 성형성 및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겸비한 기능성 소재에 대한 전개를 목표로 하는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기타 소재와 하이브리드화하는 활동도 본격화하고 있다.
산화티탄 및 활석 등 다른 무기소재와 복합화함으로써 탄산칼슘 단체로는 불가능했던 기능을 발현하거나 상대 소재가 발휘하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탄산칼슘의 복합을 통해 코스트 절감 등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비중이 가벼운 수지와 조합해 질량을 늘리고 핸들링성을 향상시키는 등 유기화합물의 복합 사례도 있으며 수지 자체의 기능소재 개발에 착수하는 서플라이어도 등장하고 있다.
탄산칼슘과 연관된 핵심기술을 응용 전개하는 활동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탄산칼슘은 저코스트 필러로 석회석에서 제조한다는 1차산업 이미지가 강하나 기술 레벨은 다른 무기소재의 제어 기술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핵심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내재하고 있어 산화티탄 등 고가의 필러가 차지하고 있는 영역과 코스트가 우선시되는 기존 탄산칼슘 영역사이에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산화티탄 대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공급기업도 존재하고 있다.
또 종이기저귀의 통기 필러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미립자제품은 기능소재로서의 신규용도 개척의 성공 사례로서 주목된다.
종이기저귀는 세계 수요 신장이 기대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성장이 기대되는 유망 분야이다.
중장기적인 시장 축소가 예측된다고는 하나 기존사업이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탄산칼슘은 기존사업의 안정공급, 니즈에 대한 대응 등이 중요하지만 더욱 정밀화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에 대한 추가적인 투자, 타업종 및 대학 등과의 공동연구 및 오픈 이노베이션 추진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