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모더나(Moderna)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초기 임상시험에서 실험 대상자 전원에게서 항체를 형성하는 데 성공했다.
의학저널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EJM)에 공개된 시험 결과에 따르면, 지원자 가운데 심각한 부작용을 호소한 사람은 없었고 약물을 2차 투여받거나 많은 양의 투여를 받은 대상을 중심으로 절반 이상이 피로감, 두통, 오한, 근육통 등 경미한 반응을 나타냈다.
2차 접종 실험군은 코로나19에 취약할 가능성이 높은 지원자들로 구성됐고 28일 간격으로 약물을 투여받았다. 백신을 2차례 투여한 사람은 코로나19 회복자에게서 볼 수 있는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평균치 이상의 중화항체를 형성했다.
시험 보고서의 주요 집필진인 리사 잭슨 카이저 퍼머넌트 워싱턴 연구소 박사는 “코로나19를 예방할 백신이 시급하다”며 “입원이나 사망을 초래할 정도로 심각한 부작용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모더나의 백신(mRNA-1273)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쇠뿔 모양 돌기인 단백질 스파이크 성분을 체내에 미리 생산한 뒤 면역력을 생성하는 원리로 알려졌다.
mRNA-1273의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리보핵산은 단백질 생산을 지휘하는 화학적 메신저 역할을 하며 투여하면 코로나19의 단백질 스파이크와 같은 성질의 단백질을 생산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단백질 스파이크를 통해 인체의 세포와 결합한 뒤 세포에 침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모더나는 3월16일 세계 최초로 사람에게 코로나19 백신 약물을 투여하는 임상시험에 돌입했고 의약품 출시 막바지 단계에 해당하는 임상3상을 앞두고 있다.
미국 보건당국 고위 관계자는 현지매체를 통해 2020년 여름이 끝날 무렵에 코로나19 백신 생산을 개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