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맥셀, 에너지 하베스팅 적용 검토 … ADAS‧의료‧헬스케어용 개척
맥셀(Maxell)이 전고체전지 보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맥셀은 전고체전지에 풍력 등을 활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으로 충전 시스템을 병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독립계 충전 유닛으로 제조한다면 단독으로 영구전지처럼 사용할 수 있어 새로운 용도 개척은 물론 채용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맥셀은 2030년 매출액 300억엔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충전 유닛이 매출액 달성에 기폭제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첨단운전지원시스템(ADAS), 의료 용도 개발을 통해 전고체전지 보급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맥셀은 2023년 교토(Kyoto) 사업장에서 전고체전지 양산을 시작하기 위해 20억엔을 투자하고 있으며 먼저 동전형, 세라믹 패키지형 등을 투입하고 이후에는 고전압‧고출력 바이폴라형을 출시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공장 자동화(FA)와 인프라 관련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공장 생산라인과 로봇 백업계에서 1차전지가 사용되고 있으나 일정기간이 지나면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코스트가 소요되나 2차전지
인 전고체전지로 대체하면 교환, 유지보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강조하고 있다.
맥셀의 전고체전지는 내용연수가 20년으로 길고 현재 개발하고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하는 충전 유닛을 더한다면 실질적으로 유지보수 생략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편의성이 대폭 향상돼 공장 자동화 이외 용도 개발도 본격화할 방침이다.
초기 매출액 목표는 10억엔대 정도로 설정했으나 2030년 300억엔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용도 확대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단독충전기술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또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20억엔의 뒤를 이을 추가 투자가 필요해 순차적인 생산라인 증설을 검토하고 있다.
아직 관능검사 등 사람의 손에 의존하고 있는 공정도 있어 DX(Digital Transformation) 도입을 본격화할 예정이며 증설과 생산 효율화를 통해 전고체전지 보급을 가속화한다.
공장 자동화와 인프라 이외 용도로는 ADAS 분야에서 사업 기회를 였보고 있으며 노면 센싱 용도 뿐만 아니라 자동차 내부 통신용을 주목하고 있다. 자동차 내부 통신을 위해 와이어하니스를 사용하고 있으나 전기자동차(EV)로 전환되면서 하니스 탑재량이 급증할 수밖에 없어 중량이 크게 늘어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 내부 통신을 와이어하니스로부터 전고체전지와 발전기 조합으로 전환한다면 전동자동차(xEV)의 경량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웨어러블(Wearable)이나 보청기 용도 개척에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2030년 이후를 위해 페이스메이커 등 체내에 주입하는 의료기기용 수요를 개척할 계획이다.
현재 1차전지가 사용되고 있어 교환 시 재수술이 필요하지만 내용연수가 긴 전고체전지로 전환하면 장기간 재수술 없이 페이스메이커를 가동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고체전지는 LiB(리튬이온전지)와 달리 액체가 샐 위험이 없어 인체에 대한 부담도 크지 않고 충전기술을 진화시킴으로써 수요를 충족시킬 계획이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