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비료수출이 사상최대를 기록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94년 화학비료수출은 타이·베트남 등에 대한 수출증가로 93년대비 4.1% 증가한 151만6000톤으로 사상 최대실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국별로는 최대수출시장인 타이에 대한 수출이 96만2000톤으로 2/3 가량을 차지했으며 미국의 수출물량감소 및 국내기업들의 적극적인 시장개척 활동으로 베트남에 대한 수출도 93년대비 72% 가량 늘어난 24만톤에 달했다. 또 필리핀 10만6000톤을 비롯 중국과 일본에도 각각 8만톤, 3만8000톤이 수출됐다. 수출이 호조를 보인 가운데 화학비료생산은 93년대비 5.2% 증가한 432만5587 톤으로 집계됐다. 부문별로는 복합비료가 270만3305톤 수출된 것을 비롯, 요소비료 90만3834톤, 황산암모늄 48만458톤, 인산단비 17만621톤, 그리고 황산가리가 6만7368톤 수출됐다. 기업별로 보면 남해화학이 93년대비 18.4% 증가한 207만7580톤을 생산했으며 58만 4290톤을 수출했다. 동부화학은 93년대비 27.1% 감소한 35만 9047 톤을 생산, 수출 35만9400톤을 기록했으며 진해화학은 93년대비 2.6% 감소한 35만 3747톤을 생산, 22만1135톤을 수출했다. 또 경기화학은 생산 34만1490톤, 수출 2만 3362톤을 기록했다. 한편, 풍부한 원료확보에 따른 낮은 원가비에도 불구 기술적인 부문에서 뒷받침이 되지 않아 다운스트림분야의 개발이 더디게 진행됐던 중동의 비료 및 석유화학시장이 최근榕?빠른 성장속도를 보이고 있다.중동의 석유화학 생산량이 두자리수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여 최근의 하류제품들에 대한 투자열기를 반영하고 있다. 사우디의 석유화학과 비료생산량은 92년이래 연평균 20%이상의 높은 성장세를 유지, 94년 생산실적이 1500만톤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 완공된 공장들이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갈 경우 연간 1640만톤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사우디는 GCC(Gulf Cooperation Council)의 석유화학과 비료생산량의 75%를 차지하고 있어 사우디의 성장은 바로 중동지역의 성장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94년 기타 중동국가들의 석유화학 생산은 200만톤에 이르렀던 것으로 조사됐다.또한 중동에서 사우디에 이어 두번째 생산규모를 보유하고 있는 이란은 94년에 93년대비 35% 증가한 690만톤의 생산실적을 나타냈다. <화학저널 1995/4/2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제약] LG화학, 당뇨복합제 수출 본격화 | 2025-05-09 | ||
[무기화학/CA] 요소, 중국이 수출규제 완화한다! | 2025-05-08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중국 태양광 수출 견제 | 2025-04-2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중국, 신증설 통해 수출 확대한다! | 2025-05-16 | ||
[폴리머] 합성수지, 중국 수출이 수입 앞섰다! | 2025-04-25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