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2003년 1.0% 감소 전망 … 플래스틱·고무는 34.0% 증가 2003년 주요 기업들의 시설투자는 2002년보다 7.6% 증가한 36조6031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고무·플래스틱 업종은 시설투자 증가가 예상되는 반면, 제약·화학·정유산업에서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전국경제인연합회가 주요 기업 357개를 대상으로 시설투자 계획을 조사한 결과, 2003년 시설투자는 2002년 증가폭 3.2%보다 더 확대된 7.6% 증가에 이를 것으로 집계됐다. 제조업의 시설투자가 중화학공업의 13.6% 큰 폭 증가세에 힘입어 경공업의 상대적인 부진(6.3%)에도 불구하고 전체로는 13.0% 상승할 것으로 조사됐다. 비제조업은 3.3% 증가가 예상돼 제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할 전망이다. 펄프 및 종이업종이 시설투자를 무려 84.1% 늘릴 전망이며, 비금속광물은 53.9%, 자동차 및 운송장비 40.8%, 운수 35.8% 증가가 예상된다. 고무 및 플래스틱에서는 2002년 시설투자 2104억원, 증가율 9.0%에서 다시 확대돼 33.5% 증가한 총 2809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반면, 섬유 및 의복의 시설투자가 2002년보다 29.1%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등 유통(-18.1%), 1차금속(-8.2%), 통신 및 정보처리(-5.4%), 제약·화학 및 정유(-1.0%) 등은 시설투자를 줄인다는 계획이다. 시설확장 투자(-1.4%)는 줄이는 대신 정보화 투자는 24.9% 늘리고 연구개발(R&D) 투자도 19.5% 확대하는 등 미래 경쟁력 향상과 업무의 효율성 개선 등을 위한 투자에 주력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대내외 정치적, 경제적 불투명성에 따라 기업들이 신규 확장투자에 나서기보다는 기존시설의 효율성을 높이고 미래 성장 잠재력을 확충하려는 전략을 추진하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전력 및 가스가 3473억원 증가(8.0%)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기·전자가 30.4%, 1차금속이 33.2% 각각 감소하는 등 대부분의 주요 산업에서 확장투자를 2002년 수준으로 동결하거나 감소시킬 전망이다. 화학·정유산업은 1.9% 늘어난다. 시설의 유지·보수에 대한 투자는 2002년 6.2%의 증가에 이어 2003년에도 4.4% 늘어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투자 비중이 큰 업종 가운데 전력·가스는 3155억원(32.3%) 증가하겠으나 통신·정보처리는 915억원(-5.2%) 감소할 예정이다. 또 자동차 및 운송장비는 8.5% 증가하는 반면, 1차금속과 제약·화학·정유는 각각 10.5%와 16.4%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2003년 신제품 개발 투자는 2002년보다 25.3%, 금액으로는 7032억원 증가해 기업들의 신제품 출시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통신 및 정보처리, 조선 등은 신제품 개발 투자가 저조할 전망이나, 자동차 및 운송장비(9782억원)와 전기·전자(7406억원), 1차금속(896억원) 등에서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화학·정유도 24.5%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는 등 대부분의 산업에서 증가세가 예상된다. 또 기업들의 자동화·합리화 투자는 2002년 15.6% 증가에 이어 2003년에는 10.7%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조선을 제외한 전기·전자(10.5%), 1차금속(17.0%), 자동차 및 운송장비(28.7%), 운수(11.4%) 등 대부분의 산업에서 10% 이상의 증가를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화학·정유산업은 다소 미미한 3.1% 증가가 예상된다. 특히, 최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환경투자에는 2002년보다 574억원이 증가한 5984억원이 투자될 계획인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 특성 상 공해배출 위험을 많이 지닌 업종 중 1차금속을 제외한 제약·화학·정유(7.9%)와 자동차·운송장비(35.1%), 운수(66.7%), 유통 등 규모가 큰 산업에서 모두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고무·플래스틱산업과 전력·가스 부문에서는 무려 72.1%, 135.0% 증가한 대규모 투자계획을 수립하고 있어 매우 바람직한 현상으로 받아들여진다. 한편, 국내 기업들의 연구개발(R&D) 투자비는 인건비 30.0%, 경상적 지출 36.2%, 자본적 지출 33.8%에 각각 할당되며 2003년 기업들의 연구개발 인력 채용은 2002년보다 7.7% 늘릴 계획이다. 표, 그래프 : | 시설투자 실적 및 계획 | 시설 유지 및 보수부문 증감률 | 연구개발(R&D) 투자동향 | <Chemical Journal 2003/02/1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2027년까지 불황 장기화 | 2025-05-19 | ||
[석유화학] 나프타, 일본 석유화학 경쟁력 약화 | 2025-05-19 | ||
[화학경영] 석유화학, 대기업도 못 버텼다! | 2025-05-16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수익성 개선에도… | 2025-05-09 | ||
[석유화학] 석유화학, 2025년에도 불황 계속… | 2025-05-0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