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기업, R&D 인력 3557명 목표
|
국내기업들이 2003년 연구개발(R&D) 인력을 2002년보다 13.3% 늘릴 것으로 예상되나 고무.석유정제.화학제품 업종의 R&D 인력은 전체 평균에 못미치는 12.3%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강신호)가 부설연구소를 보유한 민간기업 1080개를 대상으로 조사한데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2003년 전체 연구 인력을 2002년보다 13.3% 늘린 5만5309명 수준으로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2년 민간기업 연구원은 전년대비 9.8% 증가했으며, 2003년에는 2002년보다 연구원 증원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고무.석유정제.화학제품 등 화학산업의 연구 인력은 2001년 2815명에서 2002년 3168로 12.5% 늘어났으며, 2003년에는 다소 둔화된 12.3% 증가율을 보여 총 3557명의 연구 인력을 계획하고 있었다. 2002년 연구원 확보실적은 대기업이 7.7% 증가했고,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은 각각 19.5%, 19.7%로 연구원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종업원 1000명 당 연구원 수는 2001년 82명에서 2002년 90명, 2003년 104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기술개발력을 기업의 최우선 경쟁력으로 삼고 있는 벤처기업은 종업원 1000명 당 연구원 수가 2001년 239명에서 2002년 248명을 거쳐 2003년에는 267명에 이를 것으로 보여 종업원 4명 중 1명 이상은 연구원으로 확보한다는 계획이었다. 또 가전.컴퓨터.통신기기업은 2002년 269명으로 가장 기술집약적이라 할 수 있었으며, 의료.정밀.광학기기업이 129명으로 연구원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산업기술진흥협회는 연구원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데 반해, 최근 이공계 진학 기피 등의 현상이 지속될 시 연구원 수급불균형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조인경 기자> 표, 그래프: | 국내기업의 연구원 확보현황 및 계 | <Chemical Journal 2003/05/20>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화학기업, 바이오 CDMO 체질 개선 | 2025-11-10 | ||
| [기술/특허] R&D, 개발기간을 1년에서 1개월로 단축한다! | 2025-11-07 | ||
| [산업정책] 석유화학, 고부가화 R&D 로드맵 추진 | 2025-10-31 | ||
| [산업정책] 서산, 중소‧중견 석유화학기업 대출 지원 | 2025-10-27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제약] 핵산 의약품, 2030년 18조원으로 성장 일본 화학기업 참여 본격화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