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매기술로 이산화탄소 저감 가능
|
ICCDU, 유럽은 나노-광촉매 기술 주목 … 한국도 대응책 서둘러야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기술로 촉매를 활용하는 방법이 가장 유망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이산화탄소활용국제학회(ICCDU) 주관으로 서울대 호암관에서 열린 <이산화탄소 활용 국제학술대회>에서 가브리엘 센티 유럽촉매학회 회장은 “대표적인 화석연료 의존국인 한국도 다가올 이산화탄소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촉매기술 개발에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브리엘 센티 회장에 따르면, 유럽 각국은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활용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촉매를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기술이 가장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촉매는 반응에서 반응속도의 변화를 주는 것으로 광합성 반응 등으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없앨 수 있다. 센티 회장은 “유럽공동체는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 연구개발을 위해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촉매기술에 나노기술을 결합하는 나노촉매 분야나 태양광 기술을 접목한 광촉매 분야에 주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유럽에서는 태풍 등 지구상의 기상 이변과 지구온난화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이산화탄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연구개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은 놀랄만한 경제성장을 실현했으나 이제는 성장으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들을 해결해야 할 때이며, 더욱 장기적인 관점에서 환경 분야 연구개발 투자에 눈을 돌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센티 회장은 이태리 볼로냐대 공업화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세계 환경촉매학회 초대회장을 거쳐 2001년부터 유럽촉매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Chemical Journal 2003/10/2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화학] 현대건설, 이산화탄소 3만톤 포집‧활용 | 2025-10-15 | ||
| [환경] 일본, 이산화탄소 감축 7조원 투입 | 2025-09-26 | ||
| [합성섬유] 이산화탄소, 발열섬유로 직접 포집 | 2025-08-25 | ||
| [환경화학] 이산화탄소, e-Fuel 원료로 활용 | 2025-07-1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화학] 이산화탄소, 포집설비를 단순화하라! | 2025-09-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