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LㆍMFL 보유지분 대량매각 추진 … 비료 소비량 1740만톤 수준 인디아의 비료산업은 화학요소(Urea)에 대한 정부정책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데 질소(Nitrogen) 및 인산(Phosphate)비료가 균형을 잡고 있다. Tata Chemicals은 1939년 설립된 인디아 최대의 무기화학 및 비료 생산기업으로 총 매출이 3억달러 수준이다.Tata는 Utta Pradesh의 Badaun District 소재 Bacrala 플랜트의 요소 생산능력이 74만2000톤으로 인디아 생산능력의 12%를 차지하고, 인근 암모니아 플랜트의 생산능력은 47만5000톤이다. 인디아의 최대 비료기업인 IFFCO(Indian Farmers Fertilizer Co-operative)는 KRIBHCO(Krishak Bharati Cooperative) 및 OOG (Oman Oil Group)와 9억6900만달러를 투자해 요소 165만플랜트 및 암모니아 25만톤 플랜트를 Oman의 동부연안에 건설하기 위해 합작기업을 설립했다. IFFCO의 투자액은 약 8000만달러이며 플랜트는 2005년 7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IFFCO는 1967년 설립된 비료 생산 및 판매기업으로 Gujarat의 Kandla 소재 Kalol 및 NPK/DAP 암모니아/요소 플랜트와 Uttat의 Phulpur 암모니아/요소 플랜트를 보유하고 있다. 또 NPK/DAP 플랜트의 생산능력을 2000년 322만톤으로 확대했는데, 인산염 56만1000톤과 맞먹는 수준이다. 인디아는 질소 및 인산염의 세계 3위 생산국으로 매출액이 약 2600억RS(54억달러), 33억RS(69억달러)이다. 질소 및 인산염의 생산능력은 1710만톤이고 소비량은 2002년 1740만톤으로 비료 소비량 또한 세계 3위이다. 인디아에는 약 66개의 대규모 질소 및 인산염 플랜트가 있는데 38개 플랜트가 요소를 생산하고 9개 플랜트가 황산암모늄(Ammonium Sulphate)을 부산물로 생산하고 있다. SSP(Single Super Phosphate)는 공기업 3개 및 중소기업 78개가 생산한다. 인디아 정부의 Department of Fertilizer는 공기업 9개 및 협동조합 2개를 통제하고 있다. 인디아의 선두적인 국영기업에는 National Fertilizers(플랜트 6개), Fertilizers & Chemicals Travancore(3개), Rashtriya Chemicals & Fertilizer(4개) 및 Hindustan Fertilizer(5개)가 있다. 협동조합에 속한 비료기업으로는 Indian Farmers Fertilizers Cooperative(플랜트 4개), Krishak Bharti Cooperative & Hazira(1개)가 있다. 주요 사기업에는 Gujarat State Fertilizers, Baroda, Southern Petrochemicals Industries, Tuticorin, Manglore Chemicals & Fertilizers, Manglore, Gujarat Narmada Valley Fertilizers, Bharuch, Indo-Gulf Fertilizers & Chemicals, Jagdishpur, Gujarat State Fertilizer, Sikka, Deepak Fertilizers & Petro-Chemicals이 있다. 인디아 정부는 여전히 요소의 생산, 가격결정, 수입 및 판매를 통제하고 있지만 인산비료에 대해서는 가격인상 및 영양적 균형을 반영해 1992년 관리를 철폐했다. 인디아 정부는 NFL(National Fertilizer)의 지분 97.6%를 줄이기로 결정함에 따라 지분 51%를 매각하고 전략적 매출을 통해 경영권을 이전할 예정이다. NFL은 4개 지역에 플랜트를 가진 인디아의 최대 질소비료 생산기업으로 시장점유비중이 13.7%이다. 질소 생산능력은 355만톤으로 인디아에서 2번째로 큰 요소 생산기업이다. 인디아 정부는 또한 MFL(Madras Fertilizers)의 지분 32.7%를 전략적 투자자에게 매각하고 경영권을 이전할 방침이다. MFL은 1966년 인디아 정부 및 미국의 Amoco가 51대49로 출자한 합작기업인데, 인디아 정부 및 NIOC(National Iranian Oil)는 IPO(Initial Public Offering)의 발행연도인 1997년 전 Amoco의 지분을 대거 인수했다. <Chemical Journal 2003/11/1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인디아, 중국산 태양전지 배제 | 2025-04-25 | ||
[배터리] 배터리, 인디아 석학과 기술 개발 | 2025-04-24 | ||
[점/접착제] 접착제, 인디아 시장 공략하라! | 2025-04-24 | ||
[화학경영] 유니드, 중국‧인디아 사업 호조로… | 2025-04-2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인디아에서 중동으로 선회 | 2025-05-0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