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력대란 국내 진출기업 골치
|
중국 정부, 초강경 전력 사용지침 시달 … 생산ㆍ품질유지 차질 비상 찜통 더위로 전력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1980년대 이후 20여년만에 최악의 전력난에 직면하고 있다.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긴급 송전 제한조치는 물론 각종 에너지 절약시책을 펴고 있으며 중국에 진출한 국내기업들도 생산과 수출에 차질을 빚고 있다. 중국 신화통신은 7월28일 원자바오(溫家寶) 총리가 국가전력공급센터를 시찰한 자리에서 2004년 여름 전력난 극복을 위한 초강경 전력사용 지침을 시달했다고 보도했다. 원자바오 총리는 “우선 공해를 배출하는 기업들이나 중앙정부가 정책적으로 장려하는 업종에 속하지 않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전력 공급을 제한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일반 서민들의 기본 수요는 영향을 받아서는 안되며, 농업용이나 병원, 학교, 금융기관, 교통용 전력사용도 제한해서는 안된다”고 당부했다. 또 “중앙정부가 제시하는 에너지 전략에는 예외가 있을 수 없으며, 각급 정부나 정부기관들도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전국 31개 성과 자치구중 24개 성급 지역에서 송전 제한조치를 실시하고 있으며 상하이 등의 관광지 가로등에 대해서도 등화관제를 하고 있다. 중국 최대 전자산업단지인 광둥(廣東)성 둥관(東莞)시에 입주하고 있는 한국기업들은 주 2회씩 전력 공급이 중단돼 생산과 품질유지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밝혔다. 또 국내 생필품용 원부자재의 상당 부분을 공급하고 있는 저장(浙江)성 이우(義烏) 지역 입주기업들도 정전으로 정상적인 생산활동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저널 2004/07/29>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EPP, 중국 수요 증가를 기대한다! | 2025-11-18 | ||
| [배터리] 전해액, 중국기업 독주 체제 지속 | 2025-11-14 | ||
| [무기화학/CA] 요소, 중국 수출규제 완화로 안정화 | 2025-11-14 | ||
| [배터리] SKIET, 중국과 분리막 경쟁 “선전” | 2025-11-13 | ||
| [첨가제] 랑세스, 중국 고무첨가제 50% 확대했다! | 2025-11-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