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규모는 세계 1위 … 품질ㆍ기술ㆍ마케팅 능력 선진국에 뒤쳐져 중국 염료 산업은 1990년대 집중도가 더욱 높아졌으며 특히 분산염료(Disperse Dye) 분야에서 Zhejiang Longsheng Group, Jilin Chemical Industry Group 및 Runtu Group과 같은 대규모 생산기업이 등장했다.또 1990년대 들어 민간기업의 성장세가 두드러졌으며 생산, 수출, 기술 및 환경보호 문제가 크게 개선됐다. 중국은 염료 생산규모에 있어서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다. 중국염료산업협회(China Dyestuffs Industry Association)에 따르면, 중국의 2003년 염료 생산량은 54만2000톤으로 세계 전체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수출입량은 총 2만6300톤에 달했다. 소비량은 40만5000톤으로 내수판매 및 수입 비중은 각각 84%, 16%로 나타났다. 분산염료 외 인쇄/염색 분야도 최근 들어 급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대규모 인ㅅ/염색 기업들의 인쇄 및 염색직물 생산량은 2003년 약 251억3200만미터로 전년대비 20.43% 증가했으며, 6가지 주요 직물 수출량은 75억7800만미터로 35.30% 증가했다. 중국은 WTO 가입 후 점진적인 직물 쿼터제 폐지를 통해 앞으로 직물 수출 및 소비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여 직물산업은 염료 산업 성장의 주요 원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그러나 염료산업 성장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여전히 생산 집중도, 제품구조, 품질, 생산기술, 국제시장 경쟁력에 있어서 선진국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국에는 현재 500개 이상의 염료 생산기업이 있으며 대규모 생산기업 13사 203년 전체 생산량의 75% 이상을 차지했다. 그러나 여전히 생산기업 수가 너무 많아 판매경쟁이 치열해 전반적인 염료산업의 수익성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신제품 개발능력을 저하시키고 환경보호를 위한 투자를 저하시키고 있다. 또 중국은 제품종류 측면에서 저그레이드에 속하는 황화염료(Sulfur Dye) 생산량이 약 8만톤으로 전체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다. 황화염료는 비교적 생산이 쉬워 여러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어 심각한 생산능력 과잉 상태에 직면해 있다. 반면, 생산기술이 복잡한 제품은 여전히 수입의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품질 역시 선진국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중국에서 생산되는 염료제품은 어두운 색상, 낮은 견뢰도(Fastness), 높은 불순물 함유도, 낮은 레빌링(Leveling) 효과, 낮은 가용성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더욱이 대부분의 제품이 생산규모가 작고 컨트롤 및 후처리기술이 낙후됐다. 따라서 제품 품질지수가 불안정해 수요기업들이 비선호 대상이 되고 있다. Hydrogenation Reduction, Sulfur Trioxide Sulfonation, Adiabatic Nitration, Phasetransfer Catalysis 및 Isomer Adsorption Separation 등 선진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술들은 대부분 아직 중국에서는 일반적이지 않으며, 생산 자동화 수준 역시 선진국에 비해 뒤쳐져 있다. 또한 중국은 DCS, 자동공급 및 자동측정 등 몇몇 고급 자동화 기술을 아직 사용하지 않고 있다. 중국은 후처리 기술 역시 국제규격에 못 미치고 있으며 중국이 수출하는 염료 Filer Cake는 선진국에서 후처리 과정을 거쳐 다시 중국으로 역수출되고 있다. 이는 중국의 염료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 Dystar 및 Ciba Geigy Fine Chemical 등 대표적인 다국적기업들은 강력한 재무능력, 고품질 제품, 철저한 애프터서비스 지원, 브랜드 효과를 바탕으로 국제 염료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마케팅 인력 및 자본 부족으로 국제 마케팅 능력이 뒤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화학저널 2006/06/2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벤젠, 중국 부진에 다운스트림도… | 2025-10-02 | ||
[무기화학/CA] 차아황산소다, 중국산 반덤핑 판정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가성소다,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위기감 인디아·동남아 수요를 잡아라! | 2025-10-02 | ||
[석유화학] 중국, 에틸렌 1억톤으로 확대한다! | 2025-10-02 | ||
[바이오화학] 중국, 바이오 생태계 조성 본격화 | 2025-10-0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