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TA, 2005년 중국 수요 10% 증가
|
수입은 자급화로 감소세 … 원료 P-X 공급부족으로 생산조정 불가피 중국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의 2005년 수요는 2004년보다 10% 증가한 1130만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수입량은 1-10월 누계로 전년동기대비 11% 증가한 541만톤을 기록했고 2005년 전체로는 전년대비 12% 증가한 640만톤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며 일본의 생산량은 9% 증가한 500만톤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2006년 수요는 연평균 15% 의 높은 신장이 기대되는 반면 생산능력이 크게 확대돼 최근까지 높은 신장률을 이어온 수입량은 사상 최초로 마이너스로 접어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원료 P-X(Para-Xylene)의 공급부족으로 일부에서는 생산조정을 강행할 가능성이 제기돼 중국을 중심으로 PTA의 수급구조는 큰 전환점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폴리에스터(Polyester) 중합설비는 최근 수년간 연간 400만-500만톤이라는 무서운 기세로 신증설이 진행돼왔다. 유럽 및 미국과의 섬유통상문제도 일단락 지어져 세계의 폴리에스터 섬유 생산의 50% 가까이를 차지하는 중국은 앞으로도 고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견해가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다만 급격한 중합설비의 신증설로 2005년 봄 이후 공급과잉이 표면화돼 설비가동률은 급격히 저하됐다. 원료 PTA 등의 거래도 단숨에 둔화돼 PTA 생산기업들은 불가피한 생산조정을 계속해야 했다. 아울러 중국정부의 금융긴축정책도 한몫해 중합설비의 신증설은 2006년 이후 연간 100만-200만톤으로 감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206년 상반기에는 PTA 신규 플랜트들의 가동이 잇따라 개시될 예정이다. Far Eastern Polychem의 53만톤 플랜트, 翔驚石油化學 30만톤, YPC 50만톤 등이 건설되고 있다. 2006년 말에는 Mitsubishi Chemical의 60만톤 플랜트도 가동 예정이어서 자급화가 진전돼 수입은 감소세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 밖에도 타이 인디아 라마의 60만톤 플랜트, 인디아 IOC의 60만톤 플랜트 등도 건설이 예정돼 있다. 폴리에스터의 지속적인 공급과잉 현상은 PTA의 수급타이트와 직결되나 2006년 상반기의 잇따른 PTA 신증설을 전부 흡수하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원료인 P-X의 수급타이트에 따라 P-X 조달부족으로 생산조정 혹은 가동연기가 불가피한 상황이 초래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PTA 생산기업들은 Down Stream 제품의 수급이 회복되고 있으나 앞으로의 원료 대응이 경쟁력과 직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저널 2006/01/10>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섬유] 롯데케미칼, PTA 사업 철수 “완료” | 2025-11-13 | ||
| [석유화학] PTA, 원료도 심리도 살아났다! | 2025-11-07 | ||
| [석유화학] PTA, 에너지·원료 동반 강세에 반등세 강화! | 2025-10-31 | ||
| [석유화학] PET, MEG‧PTA 약세에 밀려 하락세로… | 2025-10-22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섬유] PTA, 생산능력 감축은 생존문제 일본은 아예 생산을 접는다! | 2025-10-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