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2005년 에틸렌 생산 피크
|
사상 2번째 762만톤 기록 … 2006년은 정기보수로 감소 불가피 일본의 2005년 에틸렌(Ethylene) 생산량은 761만9000톤으로 2004년에 비해 0.7% 증가했다.2003년부터 3년 연속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00년 761만4000톤을 다소 상회해 1999년 769만톤에 이어 사상 2번째 수준을 기록했다. 에틸렌 크래커는 연초부터 수요가 호조를 나타내 풀가동 상태를 이어가 실질 생산능력을 100%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2006년에는 정기보수에 따른 가동중단이 많아 풀가동을 이어가더라도 에틸렌 생산은 750만톤 정도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07년 이후에는 세계적인 에틸렌 크래커 신증설이 일본의 에틸렌 생산에도 영향을 미쳐 2005년 생산량이 피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5년 1-11월 기준으로 일본의 에틸렌 내수는 528만톤으로 전년동기대비 1.2% 증가했고, 수출입 밸런스의 수출초과폭은 167톤으로 2004년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2005년 에틸렌 생산증가는 내수가 견인했으나 실질적으로는 생산능력이 제한돼 내수시장 안정공급을 우선한 결과 수출이 신장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생산은 호조를 유지했으나 수요는 고전을 면치 못했다. 2005년에는 봄부터 여름에 걸쳐 중국에서 대형 석유화학 플랜트 2개가 가동돼 아시아 석유화학 시장이 공급과잉 상태에 빠지기도 했으며, 초가을에 국제유가가 급등했으나 이후 다시 하락해 중국 수요처들이 대량으로 에틸렌을 구매한 후 극단적인 구매보류에 돌입하는 등 파장이 일어났다. 2006년 에틸렌 생산은 4년만에 감소세에 접어들 것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는데 정기보수가 예정된 플랜트가 증가해 실질 생산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 아시아 석유화학 시장도 2006년 하반기에는 다소 둔화될 가능성이 제기돼 수출환경이 악화돼 에틸렌 생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2005년 에틸렌 생산량이 피크기를 이루고 다음 전성기는 중동ㆍ아시아 지역의 에틸렌 신증설 러시가 끝나는 2010년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속적 성장을 위해 육성할 미래 유망산업으로 차세대 메모리ㆍ비메모리 반도체, 바이오 신약ㆍ장기, 차세대 이동전화 등이 선정됐으며 첨단화학소재로서 인공지능 폴리머, 전자정보용 정밀화학 소재, 친환경 화학소재, 나노소재 등이 선정됐다. 산업연구원이 개최한 <한국산업의 발전비전 2020>에 따르면, 2020년까지 산업의 성장잠재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3대 메가 트렌드로 ▲디지털ㆍ네트워크 기술 성숙 ▲ITㆍBTㆍNTㆍ신소재 기술의융합 ▲남북한 경제협력 및 통합 전망이 꼽혔고,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3대 트렌드로는 ▲인구구조의 고령화 ▲환경과 천연자원 문제심화 ▲표준과 지식재산권 등 기술패권주의가 지적됐다.
또 “혁신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산업계ㆍ소비자ㆍ공급자ㆍ연구기관ㆍ정부 간의 협력관계를 통해 신기술 개발에 따른 위험ㆍ비용ㆍ시간을 효과적으로 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리우용 중국사회과학원 공업경제연구소 부주임은 “중국은 2010년까지 1인당 GDP를 2000년보다 100% 증가시키고 2005-2010년 연평균 7.5%의 성장을 하는 것으로 거시경제정책을 최근 상향 조정했다”며 “2006-2020년 중국 경제성장의 동력은 무엇보다 자본의 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1차, 2차, 3차 산업의 비중은 2010년까지는 각각 10.8%, 54.2%, 35.1%를 나타내고 2020년에는 각각 7.3%, 52.5%, 40.2%로 변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표, 그래프: | 일본의 에틸렌 생산추이 | 2020년 유망산업 | <화학저널 2006/01/23>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일본, 에틸렌 가동률 70%대로 다시 하락 | 2025-11-17 | ||
| [반도체소재] 삼성전기, 일본과 유리기판 합작투자 추진 | 2025-11-05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에폭시수지 ②, 일본 AI 기판용 수요 급증 스페셜티로 경쟁력 강화한다! | 2025-11-14 | ||
| [배터리] LiB, SK·일본이 리사이클 시장 주도… | 2025-11-14 | ||
| [배터리] 전해질, 탈중국 움직임 본격화… 일본, 중국 공백을 노린다! | 2025-1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