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급등 경제적 영향 낮다!
|
한국은행, 공급요인 아닌 수요증가 기인 … 상승기간 길어 충격완화 최근의 국제유가 급등은 공급요인보다는 세계경기 호전에 따른 원유 수요증가에 기인한 측면이 높아 공급충격에 의한 유가급등에 비해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은행에 따르면, 2000-2002년 연평균 0.8% 증가하던 세계 원유 수요는 2003년 2.0%, 2004년 3.7% 증가했고, 앞으로도 세계경제의 성장세 지속, 중국ㆍ인디아의 개발수요 등으로 수요 증가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IEA는 2005년 8월 세계 원유 소비가 3/4분기 이후 다시 반등해 연간 증가율이 1.9%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005년 7월 현재 실질유가는 57.58달러로 과거 최고치인 1979년 11월(108.13달러)에 비해 약 50달러(46.8%) 낮은 수준이다.
Dubai 유가가 1973년(1차 석유파동)에는 1개월 동안 330%, 1979년(2차 석유파동)에는 5개월 동안 160%, 1990년(걸프전)에는 3개월 동안 140% 각각 상승한 반면 최근에는 9개월 동안 72% 상승하는 데 그쳤다. 표, 그래프: | 원유 소비증가율 비교 | Dubai유 급등시기와 특징 | <화학저널 2006/01/31>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러시아 원유 수출 재개에 하락 | 2025-11-18 |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러시아 수출 차질 우려 “상승” | 2025-11-17 |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러시아 제제에 셧다운 종료로 상승 | 2025-11-14 | ||
| [국제유가] 국제유가, OPEC·EIA 공급과잉 우려로 폭락 | 2025-11-13 | ||
| [국제유가] 국제유가, 이라크 수출 차질 우려 “상승” | 2025-11-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