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 혼합경유 7월부터 판매
|
산자부, 2년간 바이오디젤 사용협약 체결 … 저렴한 가격에 친환경 7월부터 식물성 기름을 이용해 제조한 신재생 에너지인 바이오디젤을 혼합한 경유가 주유소에서 판매돼 자동차 연료로 사용된다.산업자원부는 2일 대한상의회관에서 정세균 장관과 SK, GS칼텍스 등 5개 정유기업 사장단, 바이오디젤 제조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7월부터 2년간 바이오디젤을 사용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자발적 협약을 정유기업과 체결했다. 이에 따라 정유기업은 경유에 바이오디젤을 혼합ㆍ제조해 주유소를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기존에는 바이오디젤 혼합유가 판매되면 일반 경유의 판매량이 줄어들 수 있어 논란이 있었고, 자동차 업계에서 최근 첨단화되고 있는 디젤차량 엔진 계통의 고장 가능성 등을 제기하며 부정적 입장을 취해온 바 있다. 그러나 판매되는 바이오디젤 혼합 경유는 주로 유채꽃에서 만들어진 바이오디젤 원액 5%를 경유에 혼합한 연료유인 BD5로 안전성에 문제가 없으며 초기 2년간 연간 9만㎘ 이상의 바이오디젤이 사용될 것으로 산자부는 전망하고 있다.
이원걸 산자부 제2차관은 “가급적 자동차 연료로는 바이오디젤이 5% 섞인 경유를 공급하도록 하되 주유소에 안내판을 붙이고 소비자가 거부하지 않는 선에서 할 것”이라며 “가격이 기존 경유보다 7.3원 정도 싸고 환경친화적이기 때문에 국민들도 협조해 줄 것으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바이오디젤 원액 20%를 경유에 혼합한 연료유인 BD20은 하반기부터 자가정비 또는 자가주유가 가능한 업소에서 버스ㆍ트럭 등에 사용될 전망이다. 바이오디젤은 순환성에너지로 톤당 이산화탄소 2.2톤을 저감하는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있으며 경유와 특성이 유사해 디젤자동차의 엔진 변경없이 경유와 혼합사용이 가능해 미국, 독일, 프랑스 등에서 1990년대부터 바이오디젤의 상용화가 추진됐다. 산자부는 협약기간이 종료되는 2년 뒤에는 바이오디젤 사용 의무화 등을 통해 이용을 대폭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자부는 “협약체결이 바이오디젤 상용화시대를 본격 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고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과 환경보호라는 2개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바이오디젤 이외에 석유대체연료로는 식물성 원료에서 추출한 알코올을 석유제품과 혼합한 알코올연료유, 석탄을 원료로 한 석탄액화연료유, 천연역청물질을 물ㆍ계면활성제 등과 혼합한 천연역청유, 석유화학연료유 등이 있다. 표, 그래프: | 한국의 신재생 에너지 사용량(2005) | <화학저널 2006/03/03>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식품소재] 팜유, 바이오디젤용 수요 증가 | 2025-05-29 |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뱅크, 바이오디젤 상업가동 | 2024-04-18 | ||
| [바이오연료] 케이디탱크, 바이오디젤 9만톤 건설 | 2023-09-04 |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뱅크, 바이오디젤 원료 확보 | 2022-08-01 | ||
| [엔지니어링] GS건설, 바이오디젤 설비 모듈화 | 2022-03-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