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층체, 활용분야 넓어 신소재 인기
|
특허청, 2004년 출원증가율 25.7% … 광학재료ㆍ디스플레이에도 활용 적층체 관련특허 출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특허청에 따르면, 적층체 관련특허 출원은 2001-04년 총 2210건이 출원됐으며, 출원은 2002년에는 전년대비 37.1%, 2003년에는 45.9%, 2004년에는 25.7%의 출원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총 2210건 중 내국인출원은 1274건으로 57.7%, 외국인출원은 936건으로 42.3%이고 외국인출원 936건 중 미국인 출원이 381건으로 40.7%를, 일본인 출원은 338건인 36.1%로 나타났다. 총 2210건 중 광학재료, 디스플레이, 전지, 태양전지관련 특허출원은 총 445건이며 광학재료건이 254건인 57.1%, 디스플레이건이 124건인 27.9%를 차지하고 있다.
2004년에는 총 445건중 217건으로 48.8%를 보이고 있다. 적층체는 주상 복합 건물처럼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층들을 여러가지 방식으로 쌓아 올려 입체적인 3차원의 구조를 가지게 해 얻고자 하는 기능을 최적화ㆍ극대화시킨 재료이다. 적층체는 합판, 바닥재, 도로포장재료, 포장재 등과 같이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제품으로부터 최첨단 제품인 광학재료, 디스플레이, 전지재료, 태양전지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또 단순히 같은 재료만을 쌓아올리는 것을 포함해 금속, 고분자, 목재, 섬유, 유리, 세라믹 재료 등 다양한 재료를 쌓아 올리고, 벌집 모양 재료, 발포된 재료, 다공질 재료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층을 삽입하기도 하며, 기계적 결합, 접착제의 사용, 열공정의 이용 등 각 층의 결합방법을 다양화하고 또한 후처리방법의 다양화 등을 통해 강화된 기능을 가진 적층체를 제조하고 있다. 다양한 재료, 다양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적층체는 강도, 연신율, 탄성율 등 역학적인 성질뿐만 아니라, 편광, 백화 등 광학적 성질, 전기적 성질, 융점, 유리전이 온도 등 열적 성질에서 기존의 재료와는 차별화된 특성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적층체 기술은 종합기술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김지은 기자> 표, 그래프: | 적층체 관련특허 출원동향(2001-04) | <화학저널 2006/03/17>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건축소재] 난방비, 적층체 건축자재로 잡는다! | 2007-11-20 | ||
| [기술/특허] 바이오센서, 활용분야 급속히 확대 | 2006-10-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