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석탄 IGCC 실용화 추진 … 미국 Future Gen 프로젝트 참여 차세대 친환경 석탄발전 기술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산업자원부는 기후변화협약 발효와 국제적 환경규제 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친환경 석탄 화력발전기술의 본격개발을 위해 △석탄 가스화복합발전(IGCC,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상용기술 확보를 위한 300MW급 석탄 IGCC 실증연구사업 △미국의 차세대 무공해 발전소 개발사업인 Future Gen 프로젝트 참여를 추진할 계획이다. 석탄 IGCC는 기존 석탄 화력발전 방식에 비해 발전효율이 우수하고 환경 오염물질의 획기적 저감이 가능한 친환경 발전소로 미국ㆍ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상용화를 위한 개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석탄 IGCC 실증연구사업은 2006-2014년까지 총 9년간 상용급(300MW) IGCC 설계기술 확보 이후 실증플랜트를 제작ㆍ건설ㆍ시운전을 하는 장기 프로젝트로 IGCC 상용기술의 체계화ㆍ종합화를 통해 2010년 이후 설비 노후에 따라 폐지되는 국내 석탄화력 발전소를 국내기술 IGCC로의 대체와 해외 플랜트 수출역량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미국 Future Gen 프로젝트는 석탄으로부터 수소와 전기를 생산하고 발생하는 CO2는 영구분리ㆍ저장하는 무공해 발전소(제 2세대 IGCC)인 Future Gen의 상용화를 위해 2004-2015년간 총 9억5000만달러를 투자해 275MW급 실증 플랜트를 설계ㆍ건설ㆍ운전하는 사업이다. 미국 Future Gen 프로젝트는 2006년부터 CSLF(Carbon Sequestration Leaders' Forum) 회원국의 참여를 통한 국제 공동연구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한국전기공사와 두산중공업 등 관련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산업자원부는 2006년부터 5년간 총 사업비 9억5000만달러의 약 1%인 1000만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300MW급 석탄 IGCC 실증연구 사업은 2006년 4월 중 정부ㆍ민간 재원 분담방안을 협의를 거쳐 9월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며, Future Gen 프로젝트 참여는 4월 관련기업과의 컨소시엄을 구성한 이후 한국ㆍ미국 에너지 실무협의회에서 분담금 납부 등 세부내용을 협의할 예정이다. 표, 그래프: | 300MW급 석탄 IGCC 실증 플랜트 건설 단계별 소요예산 | <화학저널 2006/03/2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포스코퓨처엠, 차세대 양극재 개발 | 2025-08-21 | ||
[배터리] K-배터리, 차세대 연구개발 “대결” | 2025-08-18 | ||
[반도체소재] 반도체, 차세대 소재를 개발하라! | 2025-08-13 | ||
[배터리] 음극재, 차세대 배터리 대응 급선무 | 2025-08-12 | ||
[배터리] SiB, 차세대 배터리 주자 “급부상” | 2025-08-07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