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수출 호조에도 생산 부진
|
산업공단, 4월 수출 7.1% 증가 35억6000만달러 … 생산은 25조102억원 국가산업단지에 위치한 석유화학기업들은 4월 생산이 3월에 비해 다소 부진했으나 수출은 호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산업단지공단이 전국 30개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조사한 4월 국가산업단지 산업동향에 따르면, 공장 가동률은 84.4%로 3월보다 1.4%p 하락했다. 국가산업단지의 공장가동률이 하락한 것은 원/달러 환율하락 및 고유가 등에 기인한 전반적인 소비심리 위축으로 산업단지 주력업종의 생산과 수출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는 고유가로 인한 전반적인 소비심리 위축과 자동차업종의 생산ㆍ수출 감소와 대형 원유정제기업의 정기보수에 기인해 산업단지 생산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2006년 4월 국가산업단지 석유화학산업의 생산은 3월에 비해 대비 2.2% 감소했으나 2005년 4월과 비교했을 때 11.9% 증가한 8조7596억원을 기록했다. 최근 국제유가 상승 추세가 지속됨에 따라 휘발유 등 국내 석유제품의 가격 상승 및 국제 석유화학제품의 수출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대형 원유정제기업의 정기보수로 인해 생산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석유화학산업 수출은 국제 석유화학제품의 가격 상승 및 국내 정유기업의 생산능력 확대에 힘입어 크게 증가했다. 석유화학수출은 3월에 비해 7.1%, 2005년 4월에 비해 29.4% 증가한 35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전체 수출은 116억6900만달러를 기록해 3월보다 2.9%, 2005년 4월에 비해서는 17.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달러 환율하락, 고유가, 원자재 가격상승 등의 부정적인 요인에도 불구하고, 석유화학산업의 수출 호조세 지속과 선박 인디아 스케줄상의 물량 인도 급증에 기인해 조선산업의 수출이 크게 증가한 결과이다. 입주기업수와 고용은 2만4783사, 66만525명을 기록해 2005년 4월에 비해 13.6%, 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도권지역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형공장 및 신규입주 증가에 기인한 결과로 분석됐다. 표, 그래프: | 석유화학기업의 생산액 추이 | <화학저널 2006/06/14>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롯데케미칼, 석유화학 적자 축소 “성공” | 2025-11-12 | ||
| [국제유가] 국제유가, 이라크 수출 차질 우려 “상승” | 2025-11-12 | ||
| [산업정책] 석유화학, 탄소 감축 목표 달성 어렵다! | 2025-11-11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3분기도 흑자 기조 유지했다! | 2025-11-07 | ||
| [화학경영] 삼양그룹, 석유화학사업 위기 정면 돌파 | 2025-1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