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6%만 긍정적 효과 응답 … 정밀화학 5%에 전자 28% 긍정적 석유화학기업들은 한국-미국 FTA가 체결되더라도 긍정적인 효과가 별로 없다고 예상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표한 <한국-미국 FTA 기업의견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기업들은 한국-미국 FTA가 체결되면 투자유치가 늘어나고, 수출이 신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응답기업 가운데 제조업의 66.7%, 서비스업의 66.0%가 한-미 FTA가 투자유치 확대와 수출증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답변했다. 경제시스템 선진화, 국민후생 증대, 현지투자조건 개선 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했다. 반면, 소비재수입은 38.3%만이 늘어날 것으로 답변함으로써 소비재 수입 증가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국내기업들은 내다보고 있었다.
제조업에서는 전자산업이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응답한 국내기업이 28.0%, 자동차가 26.8%, 섬유가 16.0%, 철강이 13.0%의 순이었으며, 석유화학은 6%, 정밀화학은 5%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응답했다. FTA를 통해 해소돼야 할 미국의 비관세장벽으로 까다로운 통관 문제와 불합리한 무역구제조치가 49.9%로 가장 높은 비중 차지했다. 25.4%와 24.5%가 각각 통관시 애로사항과 무역구제조치 남발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신규사업 진출, 현지투자 확대 등 국내기업들의 전략적 한-미 FTA 활용으로 투자 활성화가 기대됐다. 한-미 FTA의 전략적 활용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국내기업은 전체 응답기업의 55.5%인 211사로, 신규사업에 진출하겠다는 국내기업이 40.3%에 달하며, 현지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국내기업이 28.1%에 이르렀다. 또 국산부품조달 확대(13.8%), 해외부품조달선 미국으로의 전환(13.0%) 등 특혜원산지기준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겠다는 국내기업도 26.8%에 이르렀다. 한편, 국내기업들은 FTA 체결대상으로 미국을 가장 많이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을 1순위로 희망한 국내기업이 43.7%로, 중국을 지목한 국내기업(23.4%)의 약 2배에 달했으며, 미국 다음으로 중국, EU, 일본, 인디아, 러시아, 남미, 중동, 아프리카의 순으로 FTA가 체결되기를 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그래프: | 주요 산업별 한-미 FTA 긍정적 효과 전망 | <화학저널 2006/09/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금융권도 재편 압박 | 2025-09-30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경영권 분쟁 재점화 | 2025-09-30 | ||
[화학경영] 태광산업, 석유화학 재편 속도낸다!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원료 불확실성 확대된다! | 2025-10-02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재편 ② - 일본, 통폐합에 차별화 강화 스페셜티도 안심 못한다! | 2025-09-26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