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은 제23차 OECD 화학물질 위해성평가 전문가회의(SIAM)를 2006년 10월 17-20일 제주도(서귀포 칼 호텔)에서 개최한다. 회의에는 OECD 사무국, OECD 30개 회원국 대표, WHO(세계보건기구), BIAC(OECD 산하 화학물질관리협회), NGO 등 총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한국이 생태 및 인체 위해성 평가를 수행해 제출한 제이인산칼륨 보고서를 포함한 22개 위해성 평가 보고서를 검토ㆍ심의할 예정이다. OECD에서는 회원국별로 연간 1000톤 이상 생산ㆍ수입되는 대량생산 화학물질(HPV: High Production Volume)에 대해 2004년까지 600개의 위해성 평가 보고서를 완료했고, 2005-10년 1000개 물질에 대한 보고서 작성을 목표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OECD는 연간 2회의 위해성 평가 전문가회의를 개최해 회원국에서 제출한 위해성 평가보고서를 검토ㆍ심의 및 승인하고 있으며, 한국은 2001년부터 참여해 염화제일철 등 11개 화학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 보고서를 OECD 전문가회의에서 승인을 받은 바 있다. 전문가회의에서 승인을 받은 보고서는 UNEP을 통해 발간되며 OECD 회원국간에 위해성 평가 자료가 신뢰성있게 공유됨으로써, 국제적으로 화학물질의 위해성 평가 수준을 인정받게 된다. 한국의 OECD 위해성 평가 보고서 가운데에서는 N-actyl Aniline이 2003년 7월, Disodium Disulphite와 Benzoyl Peroxide가 2004년 4월, Calcium Sulfate Dihydrate와 p-Toluenesulfonyl Chloride가 2005년 5월에 UNEP를 발간했으며, Iron(Ⅱ) Chloride와 Barium Carbonate, 4,4'-Oxydibenzenesulfonyl Hydrazide, 1,1-Difluoroethane이 발간 예정이다. Copper Monochloride와 Strontium Carbonate는 현재 수정 중에 있다. <화학저널 2006/10/1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 GFC, 화학물질관리 세계화 추진 | 2025-01-03 | ||
[산업정책] 화평법, 신규화학물질 신고 간소화 | 2024-12-13 | ||
[환경] 화학물질, 취급기업 4만개 육박 | 2024-07-24 | ||
[안전/사고] 경기도, 유해화학물질 집중 점검 | 2024-07-08 | ||
[환경] UN, 화학물질관리 국제조직 설립 | 2024-06-28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