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복심 의원, 발기부전 치료성분도 함유 … 국내반입 중단 서둘러야 북한산 건강보조식품에 마약과 발기부전 치료성분 등이 함유됐다는 주장이 나왔다.10월23일 국회 보건복지위 장복심 의원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청을 통해 북한산 건강보조식품인 양춘삼록과 청활, 천궁백화, 네오비아그라 등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주성분이 발기부전 치료성분인 구연산실데나필인 것으로 드러났다. 양춘삼록은 구연산실데나필이 캡슐당 48.4㎎ 함유돼 있고, 청활은 35.6㎎, 천궁백화는 16.4㎎, 네오비아그라는 g당 92.2㎎ 들어 있었다. 양춘삼록은 신경안정 효과가 있는 마약류 원료물질인 디아제팜도 함유돼 있었다. 구연산실데나필은 소화장애, 안면홍조, 두통, 어지럼증 등의 일시적 장애는 물론 위암과 망막혈관 파열, 대동맥박리증, 얼굴부종 등의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디아제팜도 장기 복용시 금단현상과 수면부족, 정신착란, 언어장애 등의 후유증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북한산 건강보조식품에는 수은과 비소, 납 등의 중금속도 검출됐으며, 한약재를 적용하면 중금속 허용기준치를 초과하는 품목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한약재 기준은 수은 0.2ppm, 비소 3ppm, 납 5ppm, 카드뮴 0.3ppm이나 네오비아그라에는 수은 1.5ppm, 납 8ppm이 검출됐으며, 청활은 수은 0.6ppm, 천궁신류는 비소 17.01ppm 등이 나왔다. 장복심 의원은 “구연산실데나필과 디아제팜은 의사 처방 없이는 구매할 수 없는 것”이라며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건강보조식품의 판매와 국내 반입을 즉각 중단하고 체계적인 안전 관리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장복심 의원은 또 “개성공단과 금강산의 북한 기념품점에서 팔고 있는 북한산 건강보조식품을 사전 점검해 안전성이 입증된 품목에 한해 판매토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욱 기자) <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6/10/2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식품소재] 건강식품, 동남아 시장 9조원대 | 2024-11-19 | ||
[식품소재] 건강식품, 일본시장 8조원 성장 | 2024-08-06 | ||
[식품소재] 일동제약, 건강식품 원료 일본수출 | 2016-12-06 | ||
[식품소재] 건강식품, 성장 가능성 “맑음” | 2014-10-28 | ||
[산업정책] 무연탄, 중국도 북한산 안쓰고… | 2013-07-1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