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A, 동물사료 이어 돼지사료 오염 조사 … 첨가제도 조사대상 미국에서 대대적인 애완동물사료 리콜을 초래한 멜라민(Melamine) 오염 파문이 식용으로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미국 식품의약청(FDA)은 4월24일(현지시간) 중국에서 수입돼온 밀단백에서 화학물질인 멜라민이 검출됨에 따라 촉발된 펫푸드 파동과 관련해 조사범위를 확대하는 한편 멜라민이 들어있는 단백질 첨가제가 식품에 사용됐을 가능성도 조사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멜라민은 플래스틱 용기나 비료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FDA는 문제의 중국산 밀단백이 애완견과 고양이 외에 미국 일부 주에서 돼지사료로도 사용된 사실을 뒤늦게 밝혀내고 돼지고기로 가공 처리된 식품이 식탁에 올려졌는지 여부도 조사하기 시작했다. FDA 관계자는 멜라민 파동과 관련해 수입 밀단백과 쌀단백을 이미 조사해왔음을 상기시키고 옥수수단백과 옥수수가루, 콩단백 및 쌀겨도 새롭게 포함시켰다고 밝혔다. FDA는 멜라민이 포함된 중국산 밀단백으로 제조된 펫푸드를 먹은 애완견과 고양이가 미국에서 최소한 16마리 사망하고 몇천마리 이상이 신장질환 등을 일으킨 것으로 나타나자 문제 회사의 밀단백 수입을 중지시키는 한편 메뉴푸드, P&G, 콜게이트, 네슬레 및 델몬트 등 유명 브랜드의 펫푸드를 대거 리콜토록 조치한 바 있다. 그러나 문제의 중국산 밀단백에 들어 있는 멜라민이 애완동물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확실한 증거는 아직 나타나지 않아 조사대상인 중국산 단백질 첨가제 수입을 금지하지는 않고 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7/04/2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 석유화학, 토양오염 규제 해제 기대 | 2025-04-21 | ||
[환경] 대산단지, 대기오염물질 배출 감소 | 2024-01-26 | ||
[환경] 여수단지, 환경오염 실태조사 추진 | 2024-01-18 | ||
[산업정책] 화학제품, 오염수 방류 파장 영향권 | 2023-09-22 | ||
[환경] 납, 국제사회 중심으로 오염관리 | 2023-06-30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