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싱가폴을 물류 허브로 활용
|
SumitomoㆍPSA 합작 컨테이너 항만 건설 … 아시아ㆍ유럽 공급위해 Sumitomo Chemical Asia가 PSA(싱가폴항만공사)와 합작으로 싱가폴에 컨테이너 허브를 구축하고 사우디의 <Rabigh 프로젝트>에서 생산되는 석유화학제품의 아시아 및 유럽시장 판매확대를 목표로 최적의 물류체제를 정비에 나서고 있다.Sumitomo는 싱가폴 컨테이너 허브를 기점으로 아시아에서는 중국 Shanghai 부근과 Hong Kong 근교에, 유럽에서는 벨기에 Antwerpen 주변 및 북 이태리에 각각 Stock Point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아시아에서 효율적인 물류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주요 항구에 배선망을 가진 해운회사의 선정을 서두르고 있다. 영업거점 확보를 위해 4월 ShanghaiㆍDongguanㆍ벨기에에 사업팀을 구성했고, 7월에는 인디아와 베트남에도 판매거점을 설립할 예정이다. Sumitomo는 2008년 10월 사우디 <Rabigh 프로젝트>를 완료할 예정인데, 생산하는 유도제품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기술을 치용한 EPPE(Easy Processing Polyethylene) 25만톤, PO(Propylene Oxide) 20만톤, LLDPE(Linear Low-Density PE) 35만톤, Basell에서 기술을 도입한 HDPE(High-Density PE) 30만톤, Shell 기술을 도입한 MEG(Mono-Ethylene Glycol) 60만톤, 그리고 PP(Polypropylene) Homopolymer 35만톤 등이다. Rabigh 프로젝트에서 생산하는 석유화학제품 판매를 담당하는 Sumitomo Chemical Asia(본사 싱가폴)는 아시아와 유럽을 주력 마케팅 지역으로 선정하고 수요기업에 밀착한 영업전략ㆍ물류체제를 정비해나고 있다. Sumitomo는 사우디 홍해 연안 부근의 Rabigh와 가까운 싱가폴에 PSA와 합작으로 컨테이너 허브를 건설했다. 최첨단 IT기술에 의해 항만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PSA의 ATM(Advanced Transportation Management) 시스템을 도입해 싱가폴에 컨테이너를 15-30일간 저장할 계획이다. 또 아시아 판매의 약 50%가 중국시장으로 유입되는 것에 대비해 Shanghai 근린지역 및 Hong Kong 부근에 Stock Point를 설치할 예정이다. 2007년 4월부터는 Shanghai와 Dongguan에 사업소를 설립해 주재원을 파견함으로써 현지 수요에 맞춤형으로 대응하기 위해 판매ㆍ물류체제를 정비하고 있다. 아시아와 달리 유럽 수요기업들은 대부분 전용 창고를 소유해 직접운송의 효율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따라서 Sumitomo는 서비스기업의 조력으로 유럽 Antwerpen 부근 및 북 이태리에 저장창고를 확보하는 방향으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물류 운반용 배는 이미 POㆍMEG 모두 운반 가능한 화학탱크(3만톤)의 발주가 끝난 상태이다. 싱가폴 주요 항만에 배선망을 보유한 해운기업 선정 교섭도 이미 진행하고 있다. 한편, 영업거점에 대해서는 Shanghai에 모노머ㆍ폴리머 판매팀을 약 20명, Dongguan에 약 10명 구성하고 벨기에 소재 Sumitomo Chemical Europe에도 약 8명의 판매 팀을 배치했다. 7월부터는 Sumitomo Chemical India(Mumbai)에서 영업을 개시하고, 베트남 Ho Chi Minh에도 판매사무소를 개설해 1-2명의 인원을 배치할 계획이다. <화학저널 2007/07/09>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일본, 에틸렌 가동률 70%대로 다시 하락 | 2025-11-17 | ||
| [반도체소재] 삼성전기, 일본과 유리기판 합작투자 추진 | 2025-11-05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에폭시수지 ②, 일본 AI 기판용 수요 급증 스페셜티로 경쟁력 강화한다! | 2025-11-14 | ||
| [배터리] LiB, SK·일본이 리사이클 시장 주도… | 2025-11-14 | ||
| [배터리] 전해질, 탈중국 움직임 본격화… 일본, 중국 공백을 노린다! | 2025-1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