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중국 산업화로 6년째 상승 … 원유 268%에 천연가스 242% 올라 원유에서 금 등 각종 금속, 곡물에 이르기까지 주요 국제 상품가격이 지난 몇 년간 거침없는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미국 등 세계경제에 부담이 되고 있다.뉴욕타임스(NYT)는 1월15일 세계경제의 기본 요소인 원유와 금속, 곡물 등 상품가격이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상승세를 6년째 지속해 사상 최고가격을 기록하거나 근접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NYT에 따르면, 1999년 말과 비교할 때 구리 가격은 289% 상승해 거의 3배로 올랐고, 니켈은 242%, 금은 212%, 은은 201% 상승했다. 원유 가격은 268% 올랐고 천연가스도 242% 올랐다. 곡물 가격 상승세도 지속돼 밀 가격이 269% 오른 것을 비롯해 콩 176%, 옥수수 150% 상승했다. 밀과 콩 가격은 2007년에는 70% 가량 뛰었다. 미국경제가 침체에 빠질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실제 침체에 접어들면 수요 감소로 상품 가격이 하락세로 접어들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지만 많은 경제학자들은 중국과 인디아 등 신흥시장은 물론 세계적인 경제성장에 따른 수요 증가가 상품 시장의 지형을 바꿔 놓았기 때문에 미국경제가 침체에 빠지더라도 상품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경제학자들은 최근의 상품 가격 상승세가 중국과 인도의 산업화 및 러시아와 사우디 등 산유국의 경제 성장 등 미국의 영향권을 벗어난 세계적 요인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어 쉽게 멈추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상품 가격 상승세를 유발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중국의 산업화가 지적되고 있다. 중국의 산업혁명은 원유가 2007년 하루 750만배럴의 수요 증가를 유발해 세계 원유 수요 증가분의 31%를 차지했고, 구리는 64%, 알루미늄은 70%가 중국에 의해 수요 증가가 발생했다. 상품가격의 상승세는 소비자들의 물가 부담을 키워 미국의 경제적 고통을 가중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상품가격 상승세는 이미 미국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키우고 있는데, 2007년 쇠고기 가격은 4.5%, 닭고기 5.2%, 유제품 7.4%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8/01/1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페놀, 생산비 부담에 가격 인상! | 2025-03-07 | ||
[무기화학/CA] 공업염, 수입가격 상승 불가피 | 2024-10-18 | ||
[합성고무] 합성고무, 일본산 공급가격 오른다! | 2024-10-08 | ||
[정밀화학] 촉매, 공급가격 담합에 “철퇴” | 2024-09-2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PTA, 중국가격 약세 장기화한다! | 2025-04-18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