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년 국내기업의 기술개발 투자액은 총 9조2182억원으로 전년대비 25.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당초 전망치인 10조3426억원에 비해 적은 규모지만 96년 매출액 증가율 16.2% 보다 훨씬 높아 국내기업들이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투자에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기업들은 97년에도 96년보다 31.4% 많은 12조1120억원을 연구개발에 투입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국내 1841개 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기술개발투자현황에 따르면, 전기전자는 96년 4조2969억원을 연구개발에 투자했고, 기계분야가 2조9600억원으로 뒤를 이어 첨단기술분야의 연구개발투자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대비 기술개발투자 비중은 대기업 2.90%, 중소기업 3.75%로 중소기업이 앞섰으나 총연구개발비는 대기업 8조1735억원, 중소기업 1조448억원으로 큰 격차를 보였다. 특히, 연구개발투자 상위 10대기업(공공기업 제외)의 투자액이 전체의 46%인 4조2380억원, 20대기업의 투자액은 56%에 달해 일부 대기업이 기술개발투자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96년말 현재 국내기업 연구소는 총 2610개이며, 연구원수는 7만2820명으로 집계됐다. <화학저널 1997/7/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탄소소재, 기술개발 1000억원 지원 | 2024-02-1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리사이클] CR 기술, 유럽 중심 기술개발 가속화 아시아도 투자 본격화한다! | 2024-11-29 | ||
[환경] VOCs 저감 소재, 중국 환경규제 강화 대응 일본기업 기술개발 한창… | 2022-08-19 | ||
[환경] 일본의 탄소중립 대책, 배출량 감축에 기술개발 화학기업 부담 늘어난다! | 2022-04-22 | ||
[바이오연료] 수소에너지 ②, FCV 이어 수소엔진 부상 일본이 기술개발 주도한다! | 2021-03-1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