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분자조립 나노패턴 문제 해결 … 기능성 소재 공정에 적용 KAIST는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교수팀이 차세대 나노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연성소재 분자조립 나노기술>을 개발했다고 7월10일 발표했다.김상욱 교수팀이 개발한 연성소재 나노기술은 금속, 반도체, 세라믹, 고분자 등 다양한 종류의 반도체 기판 소재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분자조립 나노패턴 공정 기술로 신소재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Advanced Materials 등에 최근 3개월간 관련 논문 4편이 발표됐다. 액정 등 액체와 고체의 중간적 성질을 보이는 연성소재(Soft Materials)는 분자 스스로 규칙적으로 나노구조를 형성하는 분자조립 현상을 보여 현재의 반도체 미세패턴 제작공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아왔다. 하지만, 실리콘과 같은 극히 한정된 기판 위에서만 분자조립 현상이 나타나 실용성 있는 나노공정 개발에 걸림돌로 작용해 왔다. 김상욱 교수팀의 연구 성과는 연성소재의 분자조립 나노기술을 다양한 유기ㆍ무기 기능성 소재 제작공정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높게 인정받고 있다. 김상욱 교수는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나노반도체, 나노태양전지, 연료전지,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자조립 나노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화학저널 2008/07/1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나노소재] 나노기술, 한국형 팹 KNCI 구축 | 2021-05-03 | ||
[나노소재] 나노기술, 산업 소재 첨단화… | 2020-08-21 | ||
[나노소재] 나노기술 공동연구센터 개소 | 2015-11-05 | ||
[나노소재] 나노기술, 현대자동차까지 나서… | 2015-06-2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페인트/잉크] 차열페인트, 나노기술·색상차트 활용 대기업과 차별화 시작했다! | 2022-08-26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