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8월 29일
국내 페인트 생산기업들이 차열페인트 마케팅에 나서고 있으나 차별화 전략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기후변화로 인해 기존 화석에너지 사용 비중을 줄여야 한다는 인식 변화와 더불어 재생에너지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무분별한 산업 발전으로 지구온난화에 속도가 붙고 있고 5월 초에는 파키스탄 북부에서 기온이 섭씨 49도까지 치솟는 듯 기후 재앙이 현실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기술력과 인프라, 내수시장 한계 등으로 재생에너지를 비롯한 수소에너지 활용이 여전히 연구개발(R&D) 단계이거나 실증단계에 불과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건물 옥상이나 외벽에 적용되는 차열페인트는 햇빛에 의한 열을 일정 수준 차단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 페인트 생산기업들은 에너지 취약계층에 차열페인트를 무상으로 공급하는 사회공헌 방식으로 홍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통계청은 2018년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사망자를 163명으로 집계한 가운데 냉방시설을 갖추지 못한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차열페인트가 공급되면서 수요 증가와 함께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차열페인트 시장성을 2020년 기준 1조5000억원 이상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친환경·에너지 절감 수요를 타고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성능에 큰 차이 없어 “적외선 반사가 핵심”
차열페인트는 복사열을 전달하는 장파장 적외선을 반사 혹은 흡수함으로써 실내로 투입되는 열을 차단하고 온도 상승을 막음으로써 냉난방 에너지를 절약하는 역할을 한다.
페인트의 바탕이 되는 아크릴 수지에 분산제와 차열안료 등 첨가제를 투입해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크랙을 방지하고 건조 시 도장 접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수명과 시공성을 개선하는 방식이다.
주로 빛 흡수와 반사를 위한 이산화티타늄(TiO2: Titanium Dioxide) 외 특수안료를 포함하고 있으며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백색 페인트제품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간사이(Kansai), SK Kaken, Dai Nippon Toryo 등이 약용제 및 수계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거나 차별화된 외벽 공법을 소개함으로써 소비자 요구에 대응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국내에서는 서울시가 2014년 8월 열섬현상 완화와 냉방 에너지 절약을 위해 옥상을 백색 페인트로 칠하는 쿨루프 캠페인으로 홍보를 시작했다.
2018년 폭염이 발생하면서 지방자치단체 역시 노후 공공시설물 등에 쿨루프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기업들은 주택 대부분이 박공지붕 형태가 아닌 평지붕 형태임을 고려해 여름철 폭염, 폭우에 대비하고 있으며 방수를 겸한 차열페인트 개발과 양산에 집중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차열페인트는 태양열의 반사 및 방사를 목적으로 지붕에 시공해 열기 축적 감소 및 열섬효과를 완화시키는 페인트로 공인시험기관 발행 시험성적서(시험방법 ASTM C1549, E903, E1918)에 의한 태양열 반사율이 초기값 0.65 이상인 페인트로 명시돼 있으나 설치 지역의 기후조건이나 지붕의 기울기 등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기준은 없는 실정이다.
국내 페인트 생산기업들은 차열 기능을 나타내는 특수안료는 기밀로 하고 있으나 대부분 첨가제 수준으로 투입해 성능에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 시장 관계자는 “페인트는 건축용의 기술 장벽이 가장 낮고 공업용, 선박용, 자동차용 순서로 기술력이 필요하다”며 “차열 성능은 확실히 나타나겠지만 큰 차이는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친환경건축과 박민용 교수는 “최근 건축용 시장에서는 마이크로 셀과 나노 기술을 채용한 차열페인트가 개발되고 있다”고 밝혔다.
페인트 도막을 형성할 때 입자 크기가 대부분 300마이크로미터 수준에 머물러 있는데 0.5마이크로미터 수준의 초미립자 실리카(Silica)를 적용하는 등 나노 기술을 도입하면 태양광 반사와 열 분산에 유리해 차열 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에서는 현재 상용화된 차열페인트가 온도를 낮출 수는 있으나 차열보다는 단열 효과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노루페인트, 특허 확보와 국내 최초 타이틀로 시장 공략
노루페인트는 2010년 국내 최초로 차열페인트를 출시했으며 에너지세이버 시리즈를 공급하고 있다.
에너지세이버 쿨루프는 적외선 반사 원료와 단열 원료, 특수 고방사 원료를 이용해 외부 열을 대기로 빠르게 방출할 수 있다.
미국 쿨루프 전문 인증기관 CRRC(Cool Roof Rating Council), Energy Star 인증을 받았고 아크릴 고무계 도막방수재는 옥상 방수 관련 KS인증(KSF-3211)까지 획득했다.
쿨루프와 쿨로드 페인트제품이 있으며 쿨루프는 수성, 우레탄(Urethane)계, 수성과 방수를 동시에 해결한 친환경 우레탄 방수페인트를 각각의 라인업으로 구성하고 있다.
수성은 백색제품에 한정돼 있으나 태양광 반사율이 0.87로 높으며 우레탄 페인트는 백색, 회색, 녹색 등 5개 색상제품을 마련했다. 우레탄 페인트의 태양광 반사율은 백색이 0.77에 달하나 녹색은 0.29에 불과해 녹색에 가까울수록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나타나고 있다.
에너지세이버 쿨루프는 반사 원료로 복사열을 차단함과 동시에 단열 원료를 투입해 냉난방 에너지 절감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황변형 타입으로 내후성과 내구성이 우수해 미세 크랙 발생을 최소화했으며 재도장 기간을 연장함으로써 비용 절감에 유리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마케팅하고 있다.
노루페인트는 우레탄계 페인트에 차열 및 단열, 방수기능을 더한 조성과 도막 형성방법으로 특허를 획득했다. 차열 유색안료를 중량의 2-15% 첨가했고 도막이 형성됨에 따라 적외선을 반사하며 열전도율 역시 저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너지세이버 에코 쿨루프는 수용성 우레탄-아크릭 에멀젼 수지와 천연고무 라텍스 바인더 수지, 차열안료 등을 조합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탄성 방수 역할을 동시에 지닌 도막 형성방법으로 특허를 획득했다.
에코 쿨루프는 2가지 공법으로 차별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막방수재와 보강포를 함께 시공하는 ES-100 공법, 시트방수재와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절연 복합공법으로 방수층의 들뜸 현상을 제어하는 ES-200 공법을 확보했다.
서울시 옥탑방 쿨루프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차열페인트를 시공할 때 소요자금을 100% 융자 지원해주는 등 마케팅을 이어가고 있으며 에너지관리공단 에너지 이용 합리화 사업, 환경부가 주관하는 기후변화 적응 선도 시범사업, 인천공항 루프 보수공사 및 친환경 건축물 인증 등으로 차열페인트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삼화페인트, 반려동물 친화적 바이로드쿨로 차별화
삼화페인트는 최근 건축·산업용 차열페인트 브랜드를 스피쿨에서 쿨앤세이브로 변경하며 직관성을 더했다.
쿨앤세이브 시리즈는 건물 지붕 및 외벽용, 시설물 및 차량용, 옥상·방수용 등 용도별 특성을 살린 페인트로 구분하고 있으며 도로에 도방하는 바이로드쿨 페인트 역시 상용화했다.
![]() 일반 건축물에 투입되는 건축용 쿨앤세이브 KA는 아크릴, 내후성과 내오염성 요구에 적합한 KS는 실리콘 아크릴, 초내후성 요구에 적합한 KF는 수성 불소로 구성돼 있으며 모두 1액형이라는 특징이 있다.
산업용 차열페인트는 약용제형 우레탄을 적용한 범용과 고내후성제품 2종으로 각종 철재시설물과 냉동·냉장제품 운반 트럭 적재함에 쓰이고 있다.
옥상 방수용 상도는 아파트와 콘크리트 건축물 옥상 방수에 쓰이고 있으며 일반 방수상도 페인트 대비 실내온도를 섭씨 3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쿨앤세이브는 중공안료와 차열안료로 태양열 에너지 반사 효과를 개선함으로써 장파반사율을 94%까지 향상시킨 것으로 파악된다. 국내 최초로 미국 LEED(Leadership in Energy & Environmental Design) 인증을 받았다.
별도 도장기구나 도장기술이 필요하지 않고 롤러나 스프레이로 쉽게 도장이 가능하며 차열페인트의 한계 및 문제점으로 지적됐던 백색과 회색에서 벗어나 다양한 파스텔톤 조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로용 차열페인트 바이로드쿨은 MMA(Methyl Methacrylate) 타입 페인트로 알려졌으며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의 차열 성능을 시험한 결과 일반 MMA 페인트의 적외선 반사율이 33.7%인데 비해 61.7%로 높게 나타났다. 표면온도는 일반 아스콘 미도장면 도로 대비 최대 18.8도 낮게 측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삼화페인트 관계자는 “바이로드쿨은 반려동물제품 인증인 PS(Pet Product Safety Certification) 인증을 완료했다”며 “미끄럼 방지용 기능도 겸비하는 등 차별성이 있다”고 밝혔다.
조광페인트, 축사·돈사 시설 공략
조광페인트는 에버쿨 브랜드로 건축용과 산업용 차열페인트를 상용화해 판매하고 있다.
조광페인트 자료에 따르면, 일조량이 많은 오후 3시 기준 일반 우레탄 도장 대비 표면온도를 20도 가까이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광페인트는 에버쿨루프WB, 에버쿨워터프루프, 에버쿨탑 3개 차열페인트에서 용도와 기능별로 총 9개 라인업을 파생시키며 소비자들의 폭넓은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옥상 방수재 차열페인트로는 에버쿨루프와 에버쿨워터프루프를 공급하고 있으며 상중하도 조합에 따라 수성과 유성, 속건으로 구분하고 있다.
에버쿨루프WB는 고기능성 아크릴 에멀젼 전색제, 특수안료를 사용해 태양방사 반사율을 높였다. 수성 1액형으로 도장 공법이 까다롭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환경오염 감소와 유해물질 감소 등으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마크 인증을 받았다.
에버쿨워터프루프는 근적외선 반사율이 86.5%로 알려졌으며 우레탄수지를 원료로 하는 2액형 페인트로 중도재와의 부착력을 강조하고 있고, 에버쿨탑에는 중공 안료와 특수 적외선 반사안료를 사용해 태양열 반사율을 87.7%로 끌어올렸다.
조광페인트는 2021년 에버쿨 출시 당시 여름철 축사 및 돈사 등 폭염 피해가 예상되는 시설을 공략하며 마케팅에 나섰다. 사육장 지붕 일부에 에버쿨을 칠한 후 일반 지붕 표면 온도와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했으며 실험 결과 표면온도는 약 21.5도, 실내온도는 4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KCC·강남제비스코는 포트폴리오 한계
KCC는 철재, 비철금속, 목재, 콘크리트 등 다양한 소재에 사용할 수 있는 마감용 차열페인트 스포탄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다.
백색, 녹색, 회색을 공급하고 있으며 백색은 미국 에너지 절감형 페인트 인증기관인 CRRC에서 차열페인트 성적서를 획득하는 등 차열성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일반 페인트 대비 태양열 총 반사율 값이 기준치인 70%를 훨씬 넘은 것으로 측정됐다.
![]() 비황변형 아크릴 PU(Polyurethane) 수지와 무기안료를 적용해 내구성,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설계에 따라 대기환경보전법 등 환경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KCC는 옥상 쿨루프 캠페인을 통해 에너지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스포탄에너지를 무상으로 지원하고 있다.
다만, 경쟁기업들이 도로용 차열페인트를 출시하고 적용하고 있으나 KCC는 건축용 스포탄에너지 외에는 포트폴리오를 확장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강남제비스코는 차열코트 우레탄(쿨루프) 브랜드로 우레탄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주성분으로 한 2액형 무황변 우레탄계이며 백색, 녹색, 회색 3가지 색상을 공급하고 있다.
시험결과 일반페인트 대비 표면온도 31도, 내부온도 10도를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광조절기를 이용한 것이어서 자연적인 야외 조건에서는 성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한계점이 드러나고 있다.
중소기업 참여도 잇따라 “경쟁국면”
최근에는 중소기업도 차열페인트 개발과 홍보에 나서고 있다.
두온에너지원은 어드그린코트 브랜드의 고성능 세라믹 방열소재를 투입한 페인트를 홍보하고 있으며 하도 1회와 상도 2회의 간편한 시공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나노 실리카 입자의 도막 형성으로 차열 성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15개 색상 차트를 공급하고 짙은 색상에서도 평균 60-80%의 반사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적외선 반사율을 개선한 도막 형성법, 시공법과 실리카 에어로겔을 적용한 페인트 조성물 등 차열 관련 4개 특허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했다.
신아이앤에스는 쿨러닝 브랜드로 지붕용과 도로용 페인트를 생산하고 있으며 백색을 포함한 31개 색상 차트를 공급하고 있다. 2022년 1월 서울지방조달청의 혁신제품으로 선정됐다.
이에이바이오스는 클리마 시리즈로 나노세라믹을 적용한 고성능 차열방수 페인트를 판매하고 있다. 불소 수지 기반의 페인트는 옥상 바닥용에 적용하고 있으며 고급 건축물 외부용에 적용하는 나노세라믹 페인트 라인업도 확보하고 있다. (홍인택 기자: hit@chemlocus.com)
표, 그래프: <태양열 차단의 원리, 일반·차열페인트의 실내온도 변화(적외선 조사)>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페인트/잉크] 한화오션, 함정용 차열페인트 개발 | 2025-03-11 | ||
| [페인트/잉크] KCC, 차열페인트로 선박 스텔스화 | 2024-03-22 | ||
| [페인트/잉크] 삼화페인트, 차열페인트 공세 강화 | 2023-06-2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페인트/잉크] 차열페인트, 세계적 폭염 타고 수요 증가 다기능화·차별화를 추구하라! | 2025-08-01 | ||
| [페인트/잉크] 차열페인트, 탄소중립 타고 수요 증가 에너지 절감으로 환경까지… | 2023-08-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