펨토 초 단위로 레이저 소결공정 … 고가의 진공전자빔 공정 대체
화학뉴스 2011.08.02
KAIST(한국과학기술원)은 기계공학과 고승환, 양동열 교수팀이 고효율 Flexible Display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8월2일 발표했다.KAIST 연구팀은 펨토 초 단위(1조분의 1초 이하)의 레이저 소결공정을 이용해 수백나노 단계에 걸쳐 이루어지던 금속 패턴을 단일공정으로 압축해 Flexible Display를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기존에는 Flexible 전자소자나 Display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진공상태에서 광식각 공정을 이용해 수십-수백단계를 거쳐 패턴을 만들어야 했지만, 펨토 초 레이저 소결공정을 이용하면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고승환 교수는 “고가의 진공전자빔 공정을 통해서만 제작할 수 있었던 디지털 직접 나노패터닝 기술을 진공이 아닌 저온환경에서 구현함으로써 전자빔 공정을 대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펨토 초 레이저 소결공정은 재료과학기술 분야의 세계적 권위 학술지인 <화학저널 2011/08/0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화학연, 고효율 암모니아 촉매 개발 | 2025-02-18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최고효율 탠덤 셀 개발 | 2024-12-19 | ||
[석유화학] 하니웰, ECC‧PDH 고효율화한다! | 2024-10-21 | ||
[기술/특허] 열분해유, 경질 올레핀 고효율 생산 | 2024-09-09 | ||
[바이오연료] e-Fuel, 고효율 생산기술 개발 | 2024-05-23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