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산/수요 환경을 아름답게, 생활을 쾌적하게 한다는 것은 현대사회의 강력한 욕구이다. 물체의 미장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실현시킬 수 있겠으나 도료처럼 풍부하고 다양한 색채, 광택, 평활성, 입체적 모양, 표면의 연속성 등 자연스러운 마무리 감각을 간편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을 다른 재료에서는 찾을 수 없다. 또한 도료는 아주 풍부하고 재미있는 디자인 효과도 나타낼 수 있다. 건축물의 보호와 미장을 목적으로 하는 건축용 도료는 건축물의 용도, 입지조건 및 그 구성재료의 종류, 재질 등이 다종 다양한 만큼, 대상이 되는 도료의 종류도 광범위하고 더 나아가 근년의 건축에는 새로운 공법 및 재료의 개발을 포함한 기술의 발전이 눈부셔, 도장 마감에 있어서도 새로운 건축 도장 시스템이 차례차례 출현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용 도료는 국내 도료 수요시장별 구성비 중 30% 정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가장 큰 시장이다. 최근 신도시 건설을 비롯한 대단위 아파트 물량 확대보급에 따라 국내 건축용 도료시장이 활성화되고는 있으나 새로운 시장 및 상품개발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용 도료 수요는 지난 89년 전체 도료 수요량 37만5752㎘의 32.0%인 12만 241㎘를 차지했으나 점차 전체 도료 수요량에 대한 비율이 줄어들었다. 90년 31.2% 14만4633㎘, 91년 29.2% 15만4100㎘, 92년 29.6% 17만2222㎘를 기록했다. 표, 그래프 : | 성분별 도료 생산 | 국내 전체 도료 및 건축용 도료의 수요량 | 벽지대용페인트 시장점유율(1992) | 국내 건설경기 | 국내 페인트 수급현황 (물량기준) | 국내 페인트 수급현황 (금액기준) | <화학경제 1993/1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