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ㆍ동아대 연구팀, 양자점-양극 홀 주입장벽 최소화로 효율향상
화학뉴스 2012.05.02
국내 연구진이 콜로이드 양자점(Quantum Dot)을 이용해 고효율의 적ㆍ녹ㆍ청색 양자점 발광소자를 개발했다.
서울대 이창희ㆍ차국헌ㆍ이성훈 교수와 동아대 곽정훈 교수팀은 투명전극과 금속전극의 역할을 뒤바꾸는 발상 전환으로 양자점과 양극 간의 홀 주입장벽을 최소화했다고 5월1일 발표했다. 어떤 물질의 크기가 수 나노미터(㎚: 10억분의 1미터) 수준으로 작아지면 그 이상의 크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독특한 전기, 광학, 역학적 특성이 발현한다. 특히, 반도체성 물질을 나노미터 단위 크기로 줄이면 양자국한 현상에 의해 전기, 광학적 성질이 두드러지는데, 이런 특성이 발현된 구 형태의 나노입자를 양자점이라 한다. 양자점은 구 형태의 반도체 나노입자로 뛰어난 색순도와 높은 양자효율, 용이한 파장제어, 낮은 제작단가 등으로 차세대 발광소자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양자점 발광소자는 양자점을 발광체로 사용한 발광소자로 대개 두 전극 사이에 양자점을 박막(얇은 막) 형태로 삽입해 전자와 홀의 결합에 의해 빛을 만든다. 양자점 발광소자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양자점과 양극 사이에 존재하는 높은 에너지 장벽으로 전자와 홀의 효과적인 재결합이 저해돼 발광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공동연구팀은 양극으로 주로 사용되는 인듐ㆍ주석산화물 전극을 음극으로 사용한 후 위에 산화아연 나노입자 전자전달층, 양자점 박막, 유기물 홀 전도층과 금속 양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해 기존 소자와 구동방향이 정반대인 소자를 제작했다. 다양한 홀 전도물질을 소자에 도입함으로써 양자점과 양극 간의 홀 주입장벽이 줄어들었다. 개발한 양자점 발광소자는 홀 주입에 최적화된 구조로 전자와 홀이 양자점 내부에서 균형을 이루어 재결합 할 수 있었다. 휘도(화면 밝기)도 최대 적색 2만3000, 녹색 21만8000, 청색 2250 니트(Ni: 휘도 단위)로 기존 연구결과를 크게 뛰어넘었고 발광효율도 적색 7.3%, 녹색 5.8%, 청색 1.7%를 달성했다. 연구결과는 나노과학 분야에서 권위를 지닌 학술지 Nano Letters에 최근 게재됐다. <화학저널 2012/05/0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점/접착제] LG화학, 고효율 실버 페이스트 개발 | 2025-06-16 | ||
[아로마틱] 방향족, 미생물로 고효율 생산한다! | 2025-05-07 | ||
[정밀화학] 화학연, 고효율 암모니아 촉매 개발 | 2025-02-18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최고효율 탠덤 셀 개발 | 2024-12-19 | ||
[석유화학] 하니웰, ECC‧PDH 고효율화한다! | 2024-10-21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