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6월 10일
아시아 석유화학 시장은 중국이 적극적인 신증설을 통해 자급률을 높이고 있는 반면 경기악화로 수요는 줄어들어 불황이 장기화되고 있다. 2013년 석유화학 수출도 2012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소폭 신장에 그치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12년 중국의 합성수지 생산량은 5167만톤으로 전년대비 6.9% 증가했고, 수요는 5.2% 늘어난 6995만톤으로 아직도 공급부족이 1800만톤을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PE(Polyethylene) 및 PP(Polypropylene) 수입량은 5%대 증가했으나 PVC(Polyvinyl Chloride), PS (Polystyr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입은 증가율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은 합성수지 생산 증가율이 수요 증가율을 넘어섬으로써 수입량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의 자급률 상승은 국내 합성수지 수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국내기업들은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중국의 합성수지 수입량은 2009년 2381만톤에서 2010년 2390만톤, 2011년 2304만톤, 2012년 2370만톤으로 2300만-2400만톤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입증가율이 제로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중국의 합성수지 생산능력은 2009년 4433만톤에서 2010년 5078만톤, 2011년 5500만톤, 2012년 6000만톤으로 연평균 11%대 급신장하고 있다. 그래프, 도표<중국의 합성수지 수입실적><중국의 한국산 합성수지 수입비중 변화><중국의 LLDPE 수입단가 비교><중국의 HDPE 수입단가 비교><중국의 합성수지 수입동향><중국의 합성수지 생산능력 변화><중국의 PP(코폴리머) 수입단가 비교><중국의 PP(Homo) 수입단가 비교><중국의 ABS 수입단가 비교><중국의 PVC 수입단가 비교>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러시아 원유 수출 재개에 하락 | 2025-11-18 |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러시아 수출 차질 우려 “상승” | 2025-11-17 | ||
| [무기화학/CA] 요소, 중국 수출규제 완화로 안정화 | 2025-11-14 | ||
| [국제유가] 국제유가, 이라크 수출 차질 우려 “상승” | 2025-11-12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에폭시수지 ①, 범용 중심 수출전략 한계 뚜렷 국도·금호, 스페셜티 전환한다!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