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셀 W당 0.315달러로 상승 … 한국산 관세부담 적어 반사이익
화학뉴스 2014.10.08
글로벌 태양광 시장의 성장으로 태양광제품 가격이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관세부담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국내 태양광업계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에너지트렌드에 따르면, 최근 폴리실리콘(Polysilicon)·웨이퍼·셀 가격이 일제히 상승했다. 태양광 밸류체인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폴리실리콘의 국제 가격은 10월 초 기준으로 8월에 비해 0.29%, 웨이퍼는 0.22-0.8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의 반덤핑관세로 주춤했던 중국산 셀 가격이 8월 W당 0.309달러에서 10월 0.315달러로 올랐고 타이완은 고효율제품을 중심으로 0.33-0.34달러에서 0.35-0.36달러로 반등했다. 중국은 2014년 초 미국산 폴리실리콘에 대해 5년 동안 최고 57%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는 안을 확정했다. 미국도 중국산 태양광제품에 최대 165.04%, 타이완산에 최대 44.18%의 관세부과를 예고해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다. 반면, 국내기업들은 중국·타이완산에 비해 관세부담이 적기 때문에 시황 회복의 효과를 최대한 누릴 것으로 예상하고 설비 증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화큐셀은 셀 생산량 확대와 효율성 개선을 위해 2014년 말 독일과 말레이지아 소재 생산라인의 설비를 교체할 계획이다. 신규설비에 적용된 PERC(Passivated Emitter Rear Cell) 기술은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효율성을 20% 이상 개선해 고효율제품을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는 10월 초 효율과 출력을 향상시킨 태양광 모듈 신제품을 출시해 생산능력을 420MW에서 520MW로 확대했다. 신제품은 60셀 모듈을 기준으로 18.3%의 효율과 300W의 출력을 달성해 발전량이 4% 이상 증가했다. 태양광 관계자는 “태양광 시장 분위기가 좋아진다는 얘기가 계속 나왔었는데 가격으로도 입증되고 있다”며 “중국·타이완과는 달리 국산제품은 관세 문제에서 불리함이 없어 전망이 밝다”고 강조했다. <화학저널 2014/10/0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태양광, 차세대 시장 선점 가속화 | 2025-09-19 | ||
[신재생에너지] 포스코퓨처엠, 태양광 활용 “확대” | 2025-09-19 | ||
[석유화학] PP, 아시아 가격 일제 하락했다! | 2025-09-15 | ||
[신재생에너지] 삼화페인트, 건물일체형 태양광 개발 | 2025-09-05 | ||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한화‧OCI 미래 불안하다! | 2025-08-21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