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총 생산능력 4000만톤 도달 … Yizheng 가동률 30% 불과
화학뉴스 2014.11.20
중국의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설비투자가 멈추지 않고 있다.중국은 2012년 PTA 신증설을 통한 생산설비 대형화를 추진해 1기당 생산능력을 80만톤에서 200만톤으로 확대했다. PTA 총 생산능력은 2012년 2500만톤에 달했고 2013년에도 1500만톤 수준 확대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12년에는 Dalian에서 대규모 프로젝트가 연이어 추진됐다. Hengli Group의 2라인 220만톤, Yishengdahua Petrochemical의 300만톤 플랜트가 가동함에 따라 Dalian에서만 총 740만톤이 확대됐다. 중국의 PTA 수입량이 정점에 달했던 2006-2007년에는 700만톤을 넘었고 선박을 통해 Zhejiang, Jiangsu 등 화동지역으로 운반됐으나 증설에 따라 수입 감축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2013년 이후에도 대규모 신규가동이 잇따르고 있다. Xianglu Petrochemicals은 2013년 여름 2라인 총 440만톤 플랜트를 가동했고, Hengli Group은 2014년 220만톤 증설을 완료했다. 또 CA(Chlor-Alkali) 생산기업인 Xinjiang Zhongtai Chemical이 현지기업과 합작으로 Urumqi 소재 120만톤 플랜트를 건설하기로 합의하고 포괄협정을 체결했으며 2015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Urumqi에서는 Urumqi Petrochemical이 2011년부터 P-X(Para-Xylene) 100만톤 플랜트를 가동하고 있으며 PTA 플랜트 건설계획도 추진했으나 무산돼 현재 P-X를 화물차를 통해 연안지역까지 운반하고 있다. 물류코스트가 톤당 100달러에 달하기 때문에 코스트 부담을 덜기 위해 PTA 프로젝트를 재추진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증설계획이 무산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Zhongtai Chemical에 대해서도 성공 여부를 의문시하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Yisheng Dahua Petrochemical은 2012년 Hainan 및 Dalian 소재 플랜트를 가동 개시함으로써 1000만톤 생산체제를 구축했으나 수요 침체의 영향으로 가동률이 30% 안팎에 머무르고 있다. 2012년에 이어 2013년에도 증설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Hengli Group도 생산능력을 확대할수록 손해가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PTA 메이저들은 다운스트림인 폴리에스터(Polyester)도 동시에 사업화하고 있으나 PTA에 비해 규모가 작아 자체 소비량은 극소량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Yuandong Fiber가 2015년 가동을 목표로 타이완 소재 150만톤 플랜트와 중국 Yangzhou 소재 200만톤 플랜트를 건설하고 있어 앞으로 공급과잉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여전히 PTA 투자를 적극 확대하고 있어 중소기업들은 수익 악화로 철수가 불가피해지고 있다. 한편, BP(British Petroleum)도 중국에서 PTA 생산능력을 대폭 확대한다. BP는 2014년 가동을 목표로 Zhuhai에서 PTA 125만톤 증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중국 정부의 비준을 취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증설이 완료되면 BP는 Zhuhai에 PTA 270만톤 생산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총 생산능력이 825만톤으로 확대된다. BP는 Zhuhai Port와 합작으로 BP Zuhai Chemical을 설립해 2003년 PTA 생산을 개시했다. 중국이 외국기업과 합작으로 PTA를 생산하는 것은 최초로, 2008년 No.2 증설 프로젝트를 진행한데 이어 최근 디보틀넥킹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세계 최대급인 No.3 125만톤 증설 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BP Zuhai Chemical의 PTA 생산능력은 270만톤으로 확대된다. 중국 PTA 시장은 신증설 붐의 영향으로 2014년 말 생산능력이 4000만톤 수준까지 확대되는 반면 수요 신장률은 둔화돼 수급이 대폭 완화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및 타이완의 PTA 생산기업들이 중국수출 중단을 검토하는 등 아시아 공급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화학저널 2014/11/2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PTA, P-X‧겨울 수요에 올랐지만… | 2025-08-29 | ||
[석유화학] PTA, 인디아 관세 직격탄에 흔들.. | 2025-08-08 | ||
[석유화학] MEG, PTA와 동반 하락했다! | 2025-08-08 | ||
[석유화학] P-X, PTA 부진에 떨어진다! | 2025-08-07 | ||
[석유화학] PTA, P-X·MEG 오름세에 반등… | 2025-08-01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