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수요처와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입 … 블랜딩 채용도 중요
화학뉴스 2015.02.17
화학경제연구원(원장 박종우)이 2월13일 서울대학교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진행한 <플래스틱 및 컴파운딩 기술 교육>에서 한국BASF 양재모 과장은 <플래스틱 첨가제의 이해 및 활용> 주제 발표를 통해 “최근 고분자 가공 및 복합재료 상용화가 늘어나고 있어 첨가제의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플래스틱 첨가제는 폴리머가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기능성 첨가제와 폴리머의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안정제로 분류되며, 기능성첨가제는 난연제(Flame Retardant), 대전방지제(Anti-Static Agent), 방담제(Anti-Fogging Agent) 등이 있고 안정제는 가공안정제와 내열안정제로 분류되고 있다. 대전방지제는 Classical/Migrating System, 카본블랙(Carbon Black), IDPs(Ingerently Dissipative Polymer)가 채용되고 있다. Classical/Migrating Systems은 Migrating Additive가 물을 흡수해 전기를 방출하는 방법이다. 카본블랙은 입자가 형성돼 연결되면서 전기 발생을 차단할 수 있으나 흑색제품으로 사용범위가 좁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사용제품마다 일정수준 이상의 저항이 필요하지만 설정하기 어려워 채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IDPs는 전기성 폴리머 안에서 네트워크를 구현함에 따라 전기가 몰려있지 않고 퍼지도록 해 전기 발생을 막는 방법으로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가공안정제는 온도에 따라 반응 차이가 있어 1차 산화방지제인 페놀계(Hindered Phenols)와 2차 산화방지제인 인계 산화방지제(Phosphite)를 섞어 사용하고 있다. UV 흡수제(UV Absorbers)나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는 빛에 의한 제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며, UV 흡수제는 폴리머가 빛을 흡수하지 않도록 하고 HALS는 중간에서 발생하는 Radical을 잡고 품질을 안정화시키고 있다. UV 흡수제는 벌크제품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고 HALS는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주로 투입하고 있다. 양재모 과장은 “첨가제를 선택할 때 지역마다 UV 측정 차이가 있어 최종상품의 소비지 및 용도에 맞추어 투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보슬 연구원> <화학저널 2015/02/1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폴리올레핀, 촉매 선택이 중요하다! | 2017-06-30 | ||
[첨가제] 플래스틱첨가제, 해외판매 적극화 | 2015-10-22 | ||
[첨가제] 플래스틱첨가제, 글로벌 수요 호조 | 2015-07-23 | ||
[첨가제] 플래스틱첨가제, 고기능화 가속… | 2014-06-1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첨가제] 플래스틱첨가제, 친환경성 강화 | 2016-04-01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