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혈관조직 분포 뼈조직 출력 … 장기·복합조직 재생도 가능
화학뉴스 2015.07.23
국내 연구진이 3D 바이오프린터를 통해 뼈 조직을 출력하는데 성공했다.미래창조과학부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은 포스텍 조동우 교수 및 가톨릭대 이상화 교수, 한국산업기술대 심진형 교수 등 신산업창조프로젝트 연구진이 3D 바이오프린터를 활용한 조직 및 장기 재생에 성공했다고 7월21일 발표했다. 조직공학 및 재생의학에서는 손상된 조직 및 장기의 재생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으나 조직 크기가 커질수록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혈관을 조직 깊은 곳에서까지 자라도록 하는 것이 어려워 재생할 수 있는 조직의 크기가 매우 작아 결손장기를 회복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연구진은 혈관과 뼈조직으로 모두 분화할 수 있는 치수 줄기세포(DPSC)를 사용해 주변부에는 뼈형성단백질(BMP-2)을, 중심부에는 혈관내피성장인자(VEGF)를 함께 3D 바이오프린팅 방식으로 출력해 대체장기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이 만든 대체장기는 한 변의 길이가 5.6mm인 정육면체 형태로 중심부에 있는 세포는 혈관을 통한 산소 및 영양분 공급을 필요로 하는 크기이다. DPSC, BMP-2, VEGF를 함께 사용한 조직과 DPSC만 사용한 조직, DPSC와 BMP-2만 사용한 조직을 만들어 쥐에 이식한 다음 4주 동안 관찰한 결과 DPSC와 BMP-2, VEGF를 모두 사용해 만든 조직에서는 중심부에 혈관이 만들어지고 주변부에 뼈조직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텍 조동우 교수는 “세포 및 성장인자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이용하면 크기가 큰 조직 및 장기의 재생 뿐만 아니라 뼈, 근육, 혈관 등 다양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복합조직 재생도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산업창조프로젝트 김판건 기술사업화전문가 단장은 “연구는 3D 프린팅 기술과 의학 분야의 통합으로 혈관이 포함된 장기를 직접 인체에 맞춰 제작한다는 점에서 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며 “현재 티엔알바이오팹을 설립해 기술이전과 실용화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화학저널 2015/07/2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전자소재] UV레진, 3D프린터용 시장 급성장 | 2025-02-05 | ||
[EP/컴파운딩] 3D프린터, 필라멘트 다양화 “기대” | 2024-04-08 | ||
[전자소재] 3D프린터, GFRP 리사이클 실현 | 2021-03-17 | ||
[전자소재] 3D프린터, 슈퍼 EP 필라멘트 적용 | 2020-10-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전자소재] 3D프린터, 치과소재 혁신 이끈다! | 2020-10-30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